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이 나타나고 있다

스스로 비즈니스가 되고 있는 제이지 http://gmillietv.wordpress.com
스스로 비즈니스가 되고 있는 제이지 http://gmillietv.wordpress.com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인, 위버멘쉬의 출현

“나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존재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터득시키고자 한다. 그것은 위버멘쉬(Ubermensch)요. 사람이라는 먹구름을 뚫고 내리치는 번갯불이다” -니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만약 니체가 지금 이 시대를 본다면 어떻게 생각했을까? “신은 죽었다”며 사유의 중심을 종교적 관점에서 인간, 그리고 무엇보다 ‘개인(나)’로 내려오게 만든 현대 철학의 창시자, 니체가 만약 타임머신을 타고 1885년에서 2013년으로 왔다면 어떻게 이 시대를 평가했을까?

얼굴엔 구글글라스라는 이상한 물건을 착용하고 돌아다니는 사람들. 스마트폰을 항상 들고다니며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얻고 질문에 대답할 준비가 돼 있는 사람들. 집이나 지하철에서도 스마트폰을 끼고 이웃과 대화하지 않는 사람들.
“이거 뭐지?” 영화 한편 나올만한 스토리다.하지만 니체는 2013년을 보고 더 깊은 사유에 빠졌을 것이 분명하다. “‘위버멘쉬’가 실제 존재하는 것 아닌가???”

위버멘쉬란 항상 자기 자신을 넘어서고 자기 극복적인 삶을 영위하는 인간이다. ‘힘에의 의지’를 기준으로 가치를 설정하고 경험을 스스로 관점대로 구성하는 주체다.
니체의 위버멘쉬를 2013년 버전으로 해석해보면 ‘본 대로 생각한다고 믿는 존재’이며 전통적 관점으로 보면 도덕적이지 않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존재다. 특히 니체가 말한 위버멘쉬의 중요한 포인트는 ‘자기 극복’이다. 끊임없이 자기를 창조하는 능동적 인간이 위버멘쉬다.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나는 언제나 나를 넘어선다” … 어디서 많이 본 광고 카피 아닌가?

니체는 독일의 본(Bonn) 대학에 있는 어느 헌책방에서 ‘쇼펜하우어’의 책을 만났고 이후 스스로 깨우치는 경험을 하게 됐다. 니체가 살던 19세기 중후반 대표적 미디어(디바이스)는 종이로 인쇄된 ‘책’과 ‘신문’이었으며 헌책방 또는 책방, 도서관 등이 콘텐츠 유통 허브였다.

하지만 지금 대다수 세계인들은 스마트폰에서 마음만 먹으면 쇼펜하우어의 책을 발췌독할 수 있으며 위키피디아에서는 쇼펜하우어가 니체에게 준 영향에 대해 자세히 소개 돼 있다. 쇼펜하우어에는 못미칠지라도 당대 훌륭한 사상가들의 시각을 ‘테드(TED)’에서 15분만에 요약해서 들으며 깨우칠 수도 있다. 구글 검색을 하면 초등학생 어린이도 니체가 1885년에 한 말을 니체 앞에서 대답할 수도 있다.
니체는 까무러칠 것이다. “아니 이렇게 강할 수가…”

스마트폰을 손안에 든 개인은 그렇지 못한 개인과 분명 다를 수밖에 없다. 저녁 시간에 먹을 맛집을 찾아내는 시간도 다르고 학교 숙제나 회사 업무를 처리하는 속도나 양이 다르다. 휴일이나 공휴일에 막히는 길만 피해가서 집에서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 친구들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통해 알려주는 뉴스는 매우 빠르며 심지어 140자~300자 내외에서 요약해서 핵심 정보들을 알려주기도 한다. 정보를 찾기 위해 도서관에서 일주일동안 찾아야할 정보를 단 몇초만에 구글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남는 시간에는 다른 일을 찾아 나선다.
2013년을 사는 개인은 그 어떤 시대의 개인보다 강력해졌다. 인도를 발견하기 위해 어설픈 지도로 대서양을 건넌 1492년의 콜럼버스를 굳이 얘기할 필요가 없다.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인도 바라나시의 버짓 호텔(Budget travellers’ Hotels)에 있는 개집까지 구글 지도로 찾아낼 수 있다.

처음 가보는 여행지에 가서도 헤메거나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실시간 안내(Turn by Turn) 기능은 목적지를 정확히 찾아준다. 유명한 레스토랑이나 숙박 시설을 찾기 위해 지역 주민에게 물어볼 필요도 없다. 집단지성으로 만든 옐프(Yelp) 평가는 오랫동안 거주한 지역 주민의 평가에 뒤지지 않는다. 호텔닷컴이나 핫와이어는 실시간으로 빈 집을 찾아 예약해준다. 그동안 길, 레스토랑, 숙소를 찾기 위해 소비한 시간을 생각해보라.

‘스마트폰’과 ‘소셜’ 그리고 ‘데이터’로 무장한 2013년에 사는 세계인들은 니체도 놀랄한한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가장 똑똑한 ‘개인(Individual)’임에 틀림없다. 삶에 대한 의지와 더 나은 삶에 대한 희망도 어느때보다 강하다. 디지털로 무장한 슈퍼 개인의 출현. 위버멘쉬가 등장하고 있다. (사족 : 물론 이 같은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 할 수록 니체와 같은 시대를 넘는 사상가는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디지털의 역설’이지만 말이다)

 

모든 개인은 브랜드다(Every individuals is a Brand)

여기서 질문 하나. 2013년의 ‘개인(Individual)’이 역사상 가장 강력한 ‘개별 존재’로 규정했지만 이 개인은 우리가 알던 개인과 같은 존재인가?
물론 같은 사람이다. 하지만 커넥티드 디바이스를 들고 다니며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친구들과 콘텐츠를 주고받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개인은 분명 이전과 다른 사람이다.

질문 둘. 여기에서 ‘개인’을 ‘소비자’ 또는 ‘독자’ 또는 ‘사용자’로 바꿔보자. 우리가 알던 ‘소비자’는 스마트폰으로 무장하고 소셜의 영향을 실시간으로 받고 있으며 데이터가 축적 돼 행동 패턴이 예측되는 그 ‘소비자’ 맞나? 혹시 경영학 교과서 속에 존재하는 ‘소비자’ 아닌가.
우리가 규정하던 ‘독자’는 과연 2013년을 살고 있는 ‘그 사람’이 맞는가? 혹시 아침이면 꼭 커피와 함께 신문을 펼쳐야 살맛이 난다고 하는 1980~90년대의 독자 아닌가?

‘손님’으로 바꿔보자. 우리 식당에 오는 손님은 수십년간 알고 지내는 단골과 같은 존재인가?
사람은 같다. 하지만 1980~90년대 ‘독자’ ‘소비자’ ‘손님’은 슈트 케이스에 신문을 지니고 있었지만 2013년의 ‘독자’ ‘소비자’ ‘손님’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인터넷 디바이스를 최소 2~3개를 동시에 지니고 소셜네트워크를 즐겨 이용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같은 개인인가? 다르다. 디바이스만 진화한 것이 아니다. 협력적 소비를 할 줄 알고 정보를 공유할 줄아는 ‘따로 또 같은(Alone Together)’ 존재인 것이다.

이처럼 모바일과 소셜을 결합한 ‘힘’을 갖춘 슈퍼 개인은 ‘브랜드’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페이스북에서 아이디를 만들어 자신의 콘텐츠를 공유하며 트위터 개인 계정을 통해 미디어 활동을 하는 것 모두 ‘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활동이다.
페이스북이자 트위터, 카카토스토리에서의 ‘개인’이 ‘나’와 일치하지 않는다. 소셜에서의 자아나 그룹 활동은 개인 활동과 구분된다. 소셜 공간에서 개인은 예외없이 브랜드 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개인이 돋보이는 포스팅을 올리며 타인과 구분짓는 콘텐츠를 올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심지어 플랫폼에 따라 다른 브랜드 활동을 하기도 한다. 핀터레스트에서는 요리, 패션 등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며 트위터에서는 기자가 되려고 한다. 페이스북에서는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 애쓰고 텀블러나 레딧에서는 누구나 20대가 된다. 카카오스토리에서는 가족적인 모습을 갖춘 개인이라고 브랜딩한다.

과거에도 개인 브랜드는 있었다. 루이비통, 샤넬, 아르마니 등 세계적 명품 반열에 오른 개인브랜드도 있다. 하지만 예전엔 “나만의 콘텐츠를 팔겠다”는 마인드를 갖춘 ‘일부’ 개인만 브랜드가 됐지만 이제는 ‘모든’ 개인이 브랜드다.

 

개인, 조직을 넘어선다

“나는 더이상 당신이 알던 내가 아니다””모든 개인은 브랜드다”
브랜드 파워를 갖춘 슈퍼 개인의 출현. 이 같은 선언을 듣고 가슴이 뛰는가 묻고 싶다.
하지만 이 슈퍼 개인, 즉 디지털 위버멘쉬의 고민은 따로 있다. 개인 브랜드의 성장은 조직(회사 등)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조직은 개인 브랜드의 성장을 돕기도 하고 적이 되기도 한다. 조직의 이익이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방해가 될 수도 있다. 슈퍼 개인들은 조직의 역량을 강화시켜주고 때론 조직 브랜드의 상승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조직의 이익을 위해서는 슈퍼 개인의 욕구를 억눌러야할 때가 있다. 이럴때 긴장 관계가 형성된다.

조직의 우산 아래 있으면서 조직의 힘과 지원 능력 등의 혜택을 얻으려 하는 개인의 욕구는 당연한 것이다. 슈퍼 개인은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조직’이 되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브랜드로 성장한 개인은 조직의 위계질서와 의사결정 구조가 개인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느끼며 갈등을 느낀다.

이처럼 ‘슈퍼 개인의 출현과 조직의 갈등’ 그리고 ‘슈퍼 개인과 조직의 새로운 관계 설정’은 향후 주요 사회 이슈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스포츠는 어떤 분야보다 개인과 조직(팀, 구단)의 ‘관계’가 중요하다. 개인의 능력이 중요하지만 골프 등 일부 스포츠를 제외하고는 혼자만 잘해서 뛰어난 성취를 발휘할 수 있는 종목은 거의 없다. 하지만 슈퍼 탈렌트를 보유한 ‘슈퍼 슈퍼개인’이 없으면 우승이 힘든 것도 사실이다. 고만고만한 선수들로는 우승은 커녕 시리즈 무대에 조차 진출하기 어렵다.

힙합 가수로도 유명했으며 ‘비욘세 남편’으로 더 유명한 제이지(Jay-Z)는 최근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업가이기도 하다. 거대 힙합 레이블 ‘데프잼 레코드’의 사장을 했고 락커펠라 레코드, 락커필름 등도 소유하고 있다.
제이 지는 음악 세계에서는 가수이자 프로듀서 그리고 사장으로 유명하지만 스포츠 팬들에게는 NBA 브룩클린 네츠(Brooklyn Nets) 로도 유명하다. 브룩클린에서 태어난 그는 농구와 고향팀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브룩클린 네츠에 100만달러를 투자, 공동 구단주로 올라섰기 때문이다. 비록 소액이었지만 유명 가수 제이지의 브룩클린 네츠 지분 인수는 크게 화제가 됐다. 그가 비욘세와 함께 네츠의 경기를 보러온 날은 항상 스포트라이트를 받곤했다. 그들의 주요 데이트 장소 중 하나가 바로 브룩클린 네츠 홈구장이었다.

 

바클레이센터에서 열린 브룩클린 네츠의 홈 경기를 보러온 제이지와 비욘세 커플 @CNN
바클레이센터에서 열린 브룩클린 네츠의 홈 경기를 보러온 제이지와 비욘세 커플 @CNN

 

브룩클린 네츠를 사랑하던 제이지는 2013년 4월 이 지분을 팔고 스포츠 에이전트 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 또 한번 화제를 불러일으킨다. 뉴욕타임즈 1면에 크게 보도될 정도였다.
제이지는 스포츠 에이전트 회사 락네이션스포츠(Roc Nation Sports)를 설립하고 뉴욕양키스의 2루수 로빈슨 카노(Robinson Cano)와 에이전트 계약을 맺었다.
로빈슨 카노는 LA다저스 류현진의 에이전트 스캇 보라스를 떠나 제이지의 품에 안긴 것. 구단주의 에이전트 변신이 놀라운 것이었지만 첫 대상이 뉴욕양키스의 프렌차이즈 스타이자 ‘타격의 신’ 카노라는 점도 놀라웠다.
제이지가 브룩클린 네트 지분을 정리한 것은 에이전트가 되기 위해서는 구단의 오너십이 없어야 한다는 규정때문이었다.

그는 메이저리그 뿐만 아니라 농구, 미식축구 등 미국 인기 프로 스포츠의 에이전트로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미국의 프로스포츠는 뛰어난 흑인들이 맹활약을 펼치고 있으며 제이지는 ‘흑인 워렌버핏’으로 불릴 정도로 비즈니스 수완을 발휘하고 있어 미국 에이전트 산업에 지각변동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이지가 ‘구단’이라는 조직 지분을 팔고 에이전트라는 ‘개인’ 장사에 나선 것은 의미심장한 변화로 받아들여진다.

슈퍼 탈렌트를 보유한 위버멘쉬가 구단보다 더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르브론 제임스의 팬들에게는 그가 마이애미 히트에서 뛰건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에서 뛰건 중요한 것은 그가 ‘킹 제임스’이라는 사실이다. 이 사실을 잘 아는 르브론 제임스는 ‘르브론 제임스 닷컴‘을 만들고 그의 취미부터 음식까지 모든 것을 연계해 판매하는 등 자신만의 브랜드를 구축해가고 있다.
르브론 제임스가 아무리 뛰어난 선수라고 하지만 혼자 농구할 수 없으며 팀없이 리그에 뛸 수 없다. 하지만 팬들에게 중요한 것은 르브론 제임스이지 마이애미 히트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를 제이지식으로 해석하면 돈벌이가 되는 것은 ‘위버멘쉬’ 르브론 제임스의 에이전트를 하는 것이지 마이애미 히트를 소유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마이클 조단을 떠올려보면 향후 변화도 짐직할 수 있다. 마이클 조단은 ‘킹’ 르브론 제임스조차 비교할 수 없는 ‘글로벌 레전드’다. 1990년대 당시 마이클 조단과 시카고 불스는 동일시 됐으며 NBA팬 뿐만 아니라 세계 농구팬들도(심지어 북한의 김정은 조차도) 마이클 조단을 사랑했고 시카고 불스에 열광했다.
하지만 르브론 제임스는 어떨까. 세계 스포츠팬들은 르브론 제임스를 들어봤어도 그가 어디서 뛰고 있는지는 NBA팬들을 제외하고는 잘 모르는 것이 사실이다. 코비 브라이언트가 훌륭한 농구선수라는 것은 알고 있어도 그가 LA레이커스에서 뛰고 있다는 사실은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마이매미를 연고로 하는 구단이 아니라 미 전역을 홈구장으로 하는 ‘팀 제임스(Team LeBron James)’가 나올 법하다.
위버멘쉬 르브론 제임스가 자신의 팀을 만드는 것이며 코비와 그의 NBA팀으로 구성된 ‘팀 코비 브라이언트’와 대결하는 그림이다.

축구도 마찬가지다. FC바르셀로나의 메시가 중심이 된 ‘FC 메시’나 호날두의 ‘레알 호날두’, 웨인 루니의 ‘루니 유나이티드’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
실제로 최근 은퇴를 선언한 영국의 축구스타 데이빗 베컴은 미국 축구리그 MLS의 대주주로 구단을 소유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이름은 지역 연고를 빌리겠지만 사실상 ‘FC 베컴’이나 다름 없는 셈이다.

 

르브론 제임스의 홈페이지. 개인 홈페이지를 넘어선 브랜드 사이트다.
르브론 제임스의 홈페이지. 개인 홈페이지를 넘어선 브랜드 사이트다.

 

스포츠뿐만 아니라 대학 교육분야에서도 이 같은 변화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대학 교육은 그동안 사회의 변화에도 끄떡없는 ‘변화의 무풍지대’와 같았다. 대학 등록금이 갈수록 비싸지고 있는 만큼 교육의 질이 그만큼 좋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학교 시설 투자와 재산 증식에 정성을 쏟는 만큼 수업의 수준을 끌어올리는데 정성을 쏟고 있는지 의문이며 동문들의 기부금을 받는데 열을 올리는 만큼 장학금 혜택을 넓히는데도 열을 올리고 있는지 회의가 드는 것은 미국도 비슷하다.

하지만 스탠포드는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대학 답게 다른 길을 걷고 있다. 대학교육을 근본에서부터 바꿀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개방형온라인대학(MOOCs) 상당수가 스탠포드로부터 나왔다. MOOCs의 대표 코세라(Coursera) 공동 창업자 앤드류 응, 다프네 쾰러 교수는 모두 현직 스탠포드 교수들이다.

하워드 라인골드 교수는 아예 ‘라인골드 유니버시티(Rheingold University)‘를 만들었다. 라인골드 교수는 스탠포드에서 소셜미디어 및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데 수업 내용 중 핵심을 담아 개인의 지식관리 노하우를 가르치는 ‘Think-Know Tools’라는 6주 강좌를 개설했다. 개인은 300달러고 회사에서 지원하는 금액으로 등록하면 500달러를 내야 한다. 인터넷 커뮤니티의 대가 답게 그는 블로그, 마인드앱, 소셜 북마크,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강좌를 한다.
강의실이 있는 것은 아니다. 라이브 비디오 채팅을 통해 강의를 하고 집단 지성, 블로그 등을 이용해 숙제를 하게 한다.

라인골드는 이를 ‘협습(Co-Learning)’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교수가 일방적으로 ‘강의’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듣는 학생들끼리 서로 배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라인골드 교수는 스탠포드 수업 시간을 통해 ‘검증’을 마친 수업 방식을 자신의 이름을 딴 ‘가상 대학’을 만들어서 대중화하고 있는 것이다.
앤드류 응과 다프네 쾰러 교수는 ‘코세라’라는 무료 플랫폼을 만들어 전세계에 확산시키고 있으며 라인골드 교수는 ‘라인골드 유니버시티’를 만들어 유료로 사업모델화하고 있다.
스탠포드 대학의 반응은 어떨까? 교수가 연구와 수업은 등한시 하고 개인 장사를 한다며 비난할까? 일부 튀는 교수 때문에 연구와 수업에 ‘매진’하는 일반 교수들이 피해를 받는다며 얌전히 있으라고 할까?
스탠포드는 교수들의 이 같은 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한다. 학생들에게도 창업하라고 독려하는데 교수들이 못할 이유가 없다. 실제로 회사의 공동 창업자 또는 기업의 이사회 멤버로 이름을 올려 놓는 스탠포드의 교수는 수를 셀 수가 없다. 교수들이 학교에서 가르치는 수업의 외연이 확대되기도 하고 밖에서 나온 아이디어가 교수들을 통해 스탠포드로 들어오기도 한다.

그 결과 슈퍼 개인이 모인 집단이 스탠포드 대학이 되고 있으며 스탠포드는 이들을 지켜주는 우산이 되고 있다. 코세라나 라인골드 유니버시티는 스탠포드의 일부가 되고 있지 스탠포드를 잠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스탠포드의 슈퍼 개인(학생, 교수)은 이구동성으로 “나도 스탠포드 제품(I am a one of stanford products)”라고 자랑스러워하고 각종 ‘기부금’으로 고마움을 표시한다. ‘슈퍼 개인의 집합’이자 슈퍼 개인을 만들어내는 발전소와 같은 스탠포드. 21세기 세계 최고의 대학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 같은 규모에도 지금도 성장하고 있는 것은 이유가 있다.

 

라인골드 교수가 운영하는 '라인골드 유니버시티' 강좌
라인골드 교수가 운영하는 ‘라인골드 유니버시티’ 강좌

글 : 손재권
출처 : http://jackay21c.blogspot.kr/2013/06/blog-post.html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