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의 경영자는 밖으로 돌지 말고 내부 직원을 챙겨야 한다

얼마전에 미국의 유명 venture capital인 Kleiner Perkins (이하 KPCB)의 파트너가 본인의 회사를 소개하는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인상 깊은 부분이 있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KPCB의 원칙에 대한 부분이었는데,


(1) 무엇보다 가족이 우선이다. 가족 관련된 일이 있으면 무조건 excuse가 되는데, 가족이 행복해야지만 일을 잘 할 수가 있는 것이니 당연한 것이다
(2) 그 다음은 KPCB 파트너들을 서로 support하는 것이다
(3) 그 다음은 이미 투자한 회사(portfolio)들을 최대한 support하는 것이다
(4) 그리고 신규 투자 기회(new deal)가 마지막이다.
어떻게 보면 나와 가까운 순서대로 챙긴다는 너무 당연한 얘기인데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특히나 next google이 누가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venture capitalist가 신규 투작 기회를 마지막 우선순위에 둬야 한다는 것은 어려운 결정일 수도 있다는는 생각이 들면서도 맞는 얘기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런 원칙은 venture capital보다는 스타트업에 훨씬 더 많은 시사점을 주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스타트업 경영자(주로 대표이사) 중에는 외부 활동을 많이 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시는데, 그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정말로 그것이 최선인지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컨퍼런스 참가하고, 외부 강연하고, 소셜미디어(트위터,페북 등) 열심히 사용하고, 책도 출간하고, 다른 스타트업 멘토가 되어주고, 사회적 책임을 다 하기 위해서 봉사하고… 사실 다 좋은 일이고 분명 기업이 어느 정도의 인지도를 쌓고 네트워킹을 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일에는 ‘정도’가 있고 과하면 부작용도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뭐가 과한 것인지 아닌지는 대표이사 본인이 가장 잘 알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한 스타트업의 대표이사가 국내외 모든 컨퍼런스에 다 참가하고, 일주일에 한 두번 외부 강연을 하고, 하루에 트위터를 수십 개 올리고 (개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1시간 단위로 계속 새로운 내용을 올리고), 벤처모임이란 벤처모임은 다 참석하고, 이제 막 시작하는 벤처들의 멘토가 되어주고 그러면 한정된 자원인 시간을 현재 속해있는 회사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하고 있는것인지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각론으로 트위터 등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지금 막 nhn과 중요한 미팅을 마쳤습니다. 저희를 매우 높게 평가했습니다. 이제는 삼성전자를 만나러 갑니다” 류의 트윗을 하는 것이 정말 회사에 도움이 되는지 의문이 갑니다. (중요하고 confidential한 내용을 올리는 것이 맞는 것일까요? 제가 새로운 회사를 만날 때마다 트윗을 올리고 ‘이제 A라는 회사와 협상을 하러 갑니다’ 라고 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요?)

물론, 이런 다양한 활동들로 인해 회사의 인지도가 올라가고, 특히 해당 대표이사의 명성이 오를 수는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명성이 정말 회사에 도움이 되는 명성인지 허명인지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스타트업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부 직원들인데 (고객과 함께 동급으로 중요하다고 봅니다) 내부 직원분들이 보기에는 그런 대표이사가 좋게 보일지 잘 모르겠습니다. 겉으로는 외부 사람들과 똑같이 “대표님, 멋있어요” 라고 할 수는 있겠지만 그것은 상-하관계가 명확한 상황에서 나오는 얘기이고 속마음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외부 사람들이 “너네 대표님 너무 멋있더라” 라는 얘기를 해줄 때 오히려 내부 직원은 속으로 ‘뭐 밖으로만 돌아다니셔서 잘 모르겠네. 지금 회사 상황이 얼마나 정신 없는데 저러실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외부 다른 회사를 멘티로 두고 챙겨주기보다는 내부 구성원 하나 하나를 챙기는 것이 훨씬 중요하지 않을까요? 저는 작은 스타트업이라면 ‘직원 한명 한명과 개인적으로 얘기를 나눠본 적이 언제인지’를 묻고 싶습니다. (좋은 방법으로는 점심을 같이 먹는 것이 있다고 봅니다) 꼭 업무적인 얘기 뿐 아니라 세상 돌아가는 얘기, 그 직원의 개인적인 얘기 등 도 함께 하다 보면 그 직원은 분명히 ‘소속감’을 훨씬 강하게 가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우리 사장님은 이렇게 우리를 챙겨주시는구나. 꼭 이 회사 성공시키자’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리고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외부의 명성을 높이는 것보다는 내부 구성원들과 똘똘 뭉쳐서 해당 기업을 성공시키는 것이 가장 명성을 높이는 지름길이고, 내부 구성원들을 행복하게 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참 냉정한 얘기지만, (중간에 실패 과정을 겪었을지라도) 결국에는 ‘성공한’ 사람들이 인정 받는 것 아닌가요? 만일 스티브잡스가 애플을 완벽히 turn around 시키지 못하고 매년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처럼 멋진 프레젠테이션을 보여줬다면 동일한 감동이 밀려올까요? ‘아 저사람 말만 앞서네’라고 생각하지는 않을까요? 궁극적으로는 스타트업은 결국 ‘성공’으로 증명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냉엄한 현실인 것 같습니다 (최근에 저희 소프트뱅크 공식 블로그에 스타트업은 성공할 책임이 있다는 ‘스타트업 오블리주’라는 글이 올라왔는데 관련된 얘기가 있으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스타트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인데, 가장 중요한 사람을 챙기는 것이 대표이사의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이고 그런 사람들과 함께 성공을 향해 죽어라 달려가는 것이 결국 최선 아닐까라는 뻔한 얘기를 하면서 글을 마무리지어봅니다. 모든 것을 다 잘하면 좋겠지만, 시간은 하루에 24시간으로 한정되어 있으니깐요.


글 : 임지훈
출처 : http://jimmyrim.tistory.com/113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