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뱅크벤처스에 join을 한 것이 2007년이니 벤처투자자가 된 지도 4년이 넘었고 (직장 생활은 2003년부터 했으니 9년차네요), 지금까지 투자한 리스트를 살펴보니 17개의 회사 및 프로젝트에 총 246억원을 투자했습니다. 투자를 어느 정도 하다 보니 가끔 ‘나는 과연 좋은 투자자일까’라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고(그러다 보니 제가 트위터에 “좋은 VC란 무엇일까요?”라고 물어보고 그것을 정리해서 블로그 포스팅을 하기도 했엇죠.) 제 자신을 돌아보는데 아직 뭐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좋은 투자자가 되려고 끊임없이 노력’은 하는 것 같습니다. 다행히 시야가 조금 넓어진 것 같기도 하고요. 사실 투자자가 된 처음 1-2년을 돌이켜보면 한 없이 부끄럽습니다. 전과 후로 해서 좀 말씀을 드리면,
1. 2007-2008년
NHN전략기획실에서 인터넷/모바일/게임 분야를 폭넓게 봤고 또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서 경영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내공을 쌓았다고 생각면서 제가 ‘성공할 수 있는 기업’을 ‘판별’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투자 검토를 할 때 ‘사업계획서’에 많은 초점을 뒀던 것 같습니다. 회사가 주장하는 사업계획서의 내용이 fact냐 아니냐에 대해서 많이 봤던 것 같습니다. ‘Market sizing을 잘못하신 것 아닌가?’, ‘재무추정은 가정이 말이 안되는데?’, ‘경쟁자 분석을 너무 안하신 것 아닌가? 그래서 기업을 성공시킬 수 있을까?’, ‘해당 분야의 지식은 얼마나 되시나?’ 등. 그래서 이런 지식적인 부분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이 보이면 회사가 별로 좋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 2009년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벤처투자가 Art의 영역에 있다는 것을 점차 깨달았던 것 같습니다. 저희 회사의 어떤 분께서 “투자는 운칠복삼이야”라고 말씀하신 것에 대해서도 왜 그렇게 말씀하셨는지를 이해하게 되었고, 점차 사업계획서 그 자체에 대해서는 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아직도 사업계획서 꼼꼼히 보고, 특히 market에 대해서는 유심히 봅니다. 재무추정도 간단한 산수 정도는 해봅니다. 그렇지만, 투자를 유치하고자 하는 기업이 만일 market sizing을 잘 못하더라도, 재무추정을 잘 할줄 몰라도 그게 투자 불가사유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그런 부분들은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것이고, “도대체 이 사업은 왜 하시는 것인가요?”에 관심이 많아졌고, founding member들의 story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이분들은 어떻게 모이신 분들이고, 무슨 계기로 이런 사업을 하시게 된 것일까?. 이 사업을 진지하게 믿고 계실만한 동인이 있으신가?’ 등. 그리고 말을 매우 잘하는 사람보다는 묵묵히 계속 무엇인가를 보여주시는 분들을 훨씬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스타트업의 핵심은 결국 실행!실행! 또 실행!이니깐요.
사실 아직도 저는 투자자로서 평가 받기는 너무 이른 것 같습니다. 한 건의 투자가 평가 받기 위해서는 짧아도 3년이고, 보통 5년-7년까지도 걸리는 것을 보면, 거기에다가 제가 투자한 대부분의 회사 및 프로젝트들은 2009년 이후였다는 것을 보면 뭐라고 얘기하는 것이 참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열심히는 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열심히 할 예정이고요. 이렇게 계속 하면서 궁극적으로 제가 원하는 것은 2개인데,
1) 제가 투자한 회사들이 성공하는 것
2) 저한테 투자받은 회사의 경영진들께서 스스럼없이 다른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소프트뱅크 및 임지훈 심사역이 없었다면 저희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을지 모르겠습니다” 라고 말씀하실 수 있을 정도로 실제 value add 해줄 수 있는 것
말은 쉬워도 이 2개가 정말 어려운 일인 것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꿈은 크게 가져야 하니깐 열심히 해봐야죠! 저도 화이팅, 여러분들도 화이팅입니다!
글 : 임지훈
출처 : http://jimmyrim.tistory.com/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