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권 및 편성권이 소비형식을 결정한다
디지털화(digitalization)는 현존하는 산업질서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이 질문은 이 시대에 중요한 경제관련 질문 중 하나이다.
종이신문 기사가 온라인에 말그대로 ‘재현’되기 시작한 이후 뉴스산업은 저널리즘이 산업화된 이후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여기서 던질 수 있는 질문은 저널리즘의 ‘소비형식’인 ‘(종이)신문’을 대체하는 새로운 소비형식은 무엇인가이다? 이에 대한 답은 ‘온라인 뉴스’ 또는 ‘모바일 뉴스’, ‘뉴스 앱’이 아니라 ‘네이버 뉴스’와 ‘다음 뉴스’다. 다수 소비자는 현재 포털에서 ‘재편집’한 뉴스를 소비하고 있으며, 트위터, 페이스북의 확산과 더불어 ‘소셜 소비형태’가 최근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종이신문’을 대체하는 소비형식은 제공되는 재화 또는 서비스의 물리적 특성을 지칭하는 ‘온라인 뉴스’, ‘디지털 뉴스’가 아니라 ‘포털 뉴스’, ‘관계망 뉴스’다. 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뉴스 소비형식을 구별하는 것은 ‘편집권’을 누가 소요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가능하다. ‘공급자에 의한 편집권’이 종이신문의 특징이라면, 포털 뉴스는 ‘유통업자에 의한 편집권’이 특징이며 ‘관계망 뉴스’는 ‘친구 관계망에 의한 소셜 필터(social filter)’가 특징이다.
동일한 질문을 음악시장에 던져보자. mp3와 이어지는 파일공유(file sharing), 아이튠즈를 시작으로 개별 음원에 대한 구입 가능성이 음악산업의 균형을 깨뜨리는 시발점이었다. 그 이후 음악산업에는 오랫동안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유니버셜 뮤직(Universal Music), , 워너뮤직(Warner Music), 이엠아이(EMI), 소니 뮤직(Sony Music) 등 음악시장을 쥐락펴락했던 대형 음반사(major lables)는 한편으로 파일공유를 불법화하기 위한 정치 로비와 다른 한편으로 아이튠즈, 아마존 MP3 등과 가격협상에 에너지를 소진하면서 점차 힘을 잃어갔다. 최근 음악동영상(music video)을 즐길 수 있는 유튜브(youtube),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사운드클라우드(soundcloud)와 스포티파이(spotify), DJ 경쟁을 통해 음악을 줄기는 턴테이블(turntable.fm)이 음악시장을 다시금 요동치게 하는 4인방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뮤지션과 음반사가 편집권을 가진 ‘앨범’에서 소비자가 편집권을 가진 ‘플레이리스트’로
플레이리스트(Playlist)는 누군가에 의해 음악의 순서가 정해진 곡목록이다. 뮤지션이 새로운 앨범을 선보이면서 곡의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고, 라디오 DJ는 하루 방송분의 곡목을 정할 수 있다. 다시말해 ‘앨범’은 뮤지션에 의해 만들어진 ‘플레이리스트’다. 또한 소비자 개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여러 앨범에서 뽑아내서 테이프(mixtape)에 CD에 섞어 저장하면서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왔다. 이렇게 소비자에 의해 선별되어 제작된 음악 테이프와 음악 CD는, 음악 팬에 의해서 음악 팬을 위해 제작된 첫 번째 형태의 플레이리스트다. 공급자와 유통업자에게 의해 선정된 그리고 극히 제한적으로 소비자 개인에게 주어졌던 ‘편집된 플레이리스트’는 음악의 주된 소비형식다. 음악 소비형식의 큰 변화는 북미 및 유럽에서 시작된 온디멘드(On-Demand) 음악스트리밍 서비스인 유튜브, 스포티파이, 사운드클라우드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만들어진 플레이리스트는 트위터 및 페이스북의 공유 기능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음악 소비형식과 확산 과정은 클라우드에 저장된 음원(songs/tracks)에 끊임없이 새로운 음악 문맥- 다시 말해 메타데이터-을 추가시키고 있다. 관계망에 기초한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소비하는 양식이 확산된다는 것은 수 년 안으로 음악 데이터의 대부분이 다양한 클라우드에 저장되고 그곳에서 듣을 수 있거나 볼 수 있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악 데이터의 극히 일부분만이 MP3 플레이어를 포함한 개인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소비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 문맥과 때어 놓고 개별 온라인 뉴스의 시장가치를 논할 수 없는 것 처럼, 개별 음원(songs/tracks) 또는 개별 음악동영상은 점차 경제적 의미를 잃어갈 것이다. 이에 반해 음악 소비 문맥을 포함하고 있는 플레이리스트로 표현되는 리믹스(remix), 매쉬업(mashup), 그리고 음악 팬들 사이의 대화가 점차 중요해 질 것이다. 이렇게 음악산업은 mp3의 출현만큼 커다란 변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자기 소유에 대한 선호’ 때문에 구매 또는 공유 형식으로 얻은 음원을 자신만의 저장공간에 담아두는 음악소비가 계속될 것이라 믿는 사람이 존재할 것이다. 이들은 강 저편에서 아직도 여유있는 산책을하고 있는 종이신문 편집자와 동일한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
글 : 강정수
출처 : http://blog.muzalive.com/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