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을 따라하자 1편. 왜 여전히 구글인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회사 중 하나. 세계 검색엔진 시장 1위. 미국 대학생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 하는 회사 1위. 구글(Google). 세계인들이 검색엔진으로 빠르고 정확한 구글을 선택하면서 입에 오르내린지 10년이 지났고 2004년 상장(IPO)를 계기로 비즈니스에서도 주목을 받은지 8년이 넘었다.
현재 주가는 690달러. 미국에서 가장 비싼 주식 중 하나다. 상장 직후 300달러를 넘어 “버블이 아니냐”는 얘기를 들었던 것이 5~6년 전이다. 주가 690달러(애플은 2012년 12월 현재 539달러)가 비싼 것인가? 나는 단연코 “그렇지 않다”라고 본다. 주당 1000달러라는 경이적인 주가는 구글이 먼저 뚫을 것같다. 그것은 주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재료, 즉 제품과 경영보다 그들이 만든 ‘문화’를 보고 든 판단이다.
구글에 대해 말하는 것은 마치 코끼리 다리를 만지면서 “코끼리다”라고 하는 것과 같은 심정이다. 나는 구글에 대해 안다고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모른다고 말할 수도 없다. 구글러(Googler)가 아니기 때문에 구글에 대해 안다고 말할 수 없지만 구글을 오랫동안 취재해온 기자로서 그렇다고 아주 모른다고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이곳 실리콘밸리에 와서 가장 인상깊은 회사가 바로 구글이었고 ‘알면 알수록’ 더 관심있는 회사도 구글이다.
내가 관심있어 하는 ‘구글’은 기업의 사업 전략, 차기 안드로이드 계획, 검색 시장 점유율 등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다. 구글의 기업문화. 구글 그 자체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구글 최고의 발명품은 구글 그 자체라는 말까지 나온다. 이는 “구글은 어떻게 검색으로 세계를 정복했는가?”라는 질문보다는 “구글은 어떤 기업 문화, 어떤 정신을 가지고 있기에 세계를 리드할 수 있었는가?”란 질문에 가깝다.
“구글과 애플은 어떻게 다른가? 구글의 플랫폼은 어떻게 변하는가?”란 질문 보다는 “구글은 어떤 창업정신을 가지고 있기에 지금까지 유지할 수 있었는가?”란 질문이 이 글을 쓰는 목적과 맞다.
‘구글스토리’ ‘구글드’ ‘인더플렉스’ 등 구글과 관련된 이미 훌륭한 책과 저널이 나왔지만 최근 구글에서 직접 구글의 기업문화에 대해 취재할 기회가 있었고 주위 구글러들을 통해 듣고 겪은 부분이 있어 ‘내가 본, 내가 알고 있는 구글’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
한국에도 훌륭한 번역본이 나와 있지만 한국 기자가 직접 구글의 조직문화에 대해 언급하고 취재하는 것도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했다.
이유는 크게 세가지다.
1. 책에 이미 언급된 부분과 내가 경험하고 느낀 부분이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싱크로율’ 조차 어떻게 나온 것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2. 그리고 구글은 ‘일인다기(One Person Multi Devices)’ 커넥티드 시대에 기업 및 조직 운영의 교과서가 되고 있다. 신생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구글의 기업문화를 따라하고 있으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래서 구글은 꼭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3. 여전히 수직적이고 지휘통제식 문화가 지배적인 한국이 캐치업(Catch-up) 국가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수평적이고 창의적인 문화로의 전환은 필수적인데 구글이 어느정도 해답을 보여주고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차라리 구글(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조직문화 및 규범)을 철저하게 따라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캔 올레타가 구글드(Googled)에서 언급한 것처럼 물결을 만들 수 없다면 물결에 올라타야 한다. 이미 많은 성공한 조직들이 그들을 따라한다.
페이스북이나 다른 실리콘밸리 기업들처럼 구글의 기업문화를 따라하는 것은 어떨까.
특히 한국의 신생 벤처, 스타럽들은 충분히 따라하고 배울 부분이 많을 것이다. 수직적 위계질서에 질식된 한국인들에게는 숨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왜 여전히 구글인가?
지난 2012년 6월 페이스북에 방문, 취재한 적이 있었다. (“페이스북 DNA는 해커웨이”…저커버그, 전직원과 카페 토론 / 매일경제 6월 18일 기사) 가장 인상적인 부분 중 하나는 CEO인 마크 주커버그가 금요일마다 직원들과 식당에서 대화하면서 이 자리에서 새로운 직원을 소개하기도 하고, 회사의 주요 경영 상황과 앞으로 방향에 대해 Q&A 시간을 가진다는 점이었다. 페드럼 케야니 페이스북 조직문화 담당 임원은 “주커버그는 특별한 일을 제외하고는 매주 금요일마다 식당에서 Q&A에 참여한다. 참석률은 90%에 달한다”고 말했다.
직원들이 언제나 끼니를 때울 수 있는 직원 식당도 크고 좋았고 사내 세탁소는 물론 키보드, 악세서리 등 주변기기를 자판기에서 무료로 가져올 수 있었다. 그리고 전직원이 ‘해커 먼스(Hacker Month)’라는 제도가 있어서 일년 중 한달은 직무와 상관없이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었다.
페이스북의 이 같은 기업 문화는 모두 구글을 보고 배운 것이다. 쉐릴 샌드버그 COO 등 구글의 핵심 임원들이 모두 구글 출신이기도 하다. 페이스북의 카페는 구글플렉스의 찰리스 카페를 따라했고 Q&A도 구글의 TGIF(금요일에 찰리스 카페에 모여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전 직원과 함께 대화하는 시간)을 따라했으며 해커 먼스는 구글의 20% 시간(전체 직원이 근무 시간의 20%를 자기개발 및 다른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다는 유명한 제도)을 따라한 것이다.
페이스북의 사무실 구조도 구글과 상당히 유사하다. 책상 구분대(파티션)를 최소화하고 사무실 내에 어디서나 일할 수 있게 했으며 CEO나 임원이나 특별하게 큰 사무실을 쓰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높은 직급의 임원일 수록 자기 자리가 아예 없거나 임원들끼리 공동으로 사용하게 돼 있다. 같은 방을 쓰면 아무래도 불편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임원들이 대게는 자리를 옮겨다니거나 공동 집무실 같은 곳에서 일을 한다. 주커버그도 아무곳에서나 일한다.
이 역시 구글을 따라한 것이다. 페이스북은 일하는 방식마저 구글을 따라 하려 한다. 주커버그와 페이스북은 “지금까지 우리가 한 일은 앞으로 해야할 일에 1%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이 역시 구글의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이 즐겨하는 말을 따라한 것이다. 사실 페이스북의 비전도 구글의 그것과 매우 닮았다.
최근에는 야후가 구글을 닮아가려 하고 있다.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 CEO로 선임된 직후 야후는 ‘프리 런치’ 문화로 즉각 바꾸었다. 마리사 메이어가 오기 전까지 야후 직원들은 직원 식당에서 비싸지는 않지만 돈을 내고 밥을 먹어야 했다. 마리사 메이어가 바로 바꿨다.
직원들은 반색했다. 야후에 근무 중인 한국인 직원은 “예전에는 회사에 친구나 가족을 데려오기 좀 민망했는데 프리런치로 바뀐 이후 친구들을 초대하기도 한다. 직원들도 가능하면 저녁을 먹고 가려고 늦게 퇴근하기도 한다.
10년전만해도 상상할 수 없던 일이다.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는 야후에 찾아가 검색 엔진 탑재를 논의하고 투자 유치를 위해 뛰었던 적이 있다. 구글이 야후를 뛰어넘은 것은 오래전 일이고 이제는 야후가 구글 출신 엔지니어를 CEO에 앉히고 구글을 따라하려 한다.
구글의 기업 문화를 따라하는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굴지의 회사로 성장한 ‘페이스북’ 이나 터줏대감이 된 ‘야후’ 뿐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징가(Zynga)’와 같은 모바일 게임 업체는 물론 핀터레스트 등 요새 뜨거나 창업하는 스타럽들은 거의 대부분 구글을 따라한다고 보면 된다.
페이스북의 페드럼 케야니에게 물었다.
“페이스북을 보니 왜 이렇게 구글과 비슷한가?”
그는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고 본다. 나도 구글에서 일하다가 페이스북에 왔다. 많은 실리콘밸리 스타럽 중에는 구글 출신들이 많다. 구글이 커지고 관료화되면서 그것이 싫어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서 다른 기업에 가는 사람들이 많다. 구글에서 보고 배운 것이 있으니 구글처럼 일하는 것이 습관화 돼 있다”고 말했다.
실리콘밸리가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이 30년이 넘었지만 ‘구’ 실리콘밸리와 ‘뉴’ 실리콘밸리는 나누는 기준은 ‘구글의 탄생’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본다. 구실리콘밸리는 이름이 실리콘 이듯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장비재료 기업들이 대거 포진해 있는 베이남쪽 즉 산호세와 산타클라라를 중심으로 형성 돼 있고 뉴실리콘밸리는 웹과 모바일 중심으로 구글과 페이스북 등이 위치해 있는 마운틴뷰, 멘로 파크, 레드우드 시티, 남 샌프란시스코(South SanFrancisco) 등으로 나뉠 수 있을 것이다. (구 실리콘밸리와 뉴 실리콘밸리 사이에 애플(팔로알토 위치)이 있다. 실제로 애플은 PC를 제조하기도 하면서도 디자인, 소프트웨어, 웹 회사이기도 하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실리콘밸리 역사에서 구글이 차지한 위치는 이 지역이 세계 최고의 혁신 엔진으로 만들어 지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페어차일드(Fairchild), 인텔(Intel)과 애플 못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 역사는 스스로 자라고 있으며 아직 끝이 보이지 않아서 그 영향력을 아직 짐작할 수조차 없다. 개방과 다양성. 이는 미국의 건국 정신이기도 했다.
구글은 미국이란 나라와 닮은 점이 있다. 특히 ‘창업 정신’, 즉 ‘건국 정신’이 닮았다. 이민자들이 세운 나라(기업). 폐쇄적이기 보다는 개방과 다양성(다원성)을 추구한다는 점이 그렇다.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모두 이민자 집안의 유대인이다. 미국은 원래 영국에서 탈출한 청교도 집단들이 만든 국가이기 때문에 이민에 가장 개방적인 국가로 꼽힌다.
지난 10월 워싱턴DC로 여행을 가서 국회의사당(Capitol)에 방문한 적이 있다. 국회의사당 방문객들은 모두 미국을 소개하는 비디오를 봐야 하는데 그 비디오 제목이 ‘E pluribus unum(에 플러리버스 우넘)’이었다. <*참고 : 미 국회의사당 홈페이지 전시 소개> 이 문장은 독수리가 찍힌 미국의 국장에 들어 있고 미국 지폐와 동전속에서 볼 수 있는 미국의 초기 국시다. 이 뜻은 ‘Out of many, One’ 즉 ‘여럿으로 구성된 하나’란 뜻이다. ‘Out of many, One’ 이라는 말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즐겨쓰는 말이기도 하다.
국회의사당에서 관람객 모두가 상영하는 비디오이기 때문에 미국 역사를 보여주며 “위대한 미국” “우리는 왜 위대한가?” “우리는 왜 슈퍼파워인가?”라며 자랑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겸손하게 자신들의 나라는 이민자들이 세운 나라이며 많은 다양성 속에서 하나의 국가를 추구한다는 내용의 ‘건국 정신’을 주로 언급한 내용이어서 놀랐다.
미 국회의사당은 세계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할 뿐만 아니라 미국 의회나 국회의원 조차도 다양성 속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이 같은 ‘다양성’과 ‘개방정신’이 미국의 핵심 정신이라 보는 것으로 해석됐다. <**참고 : 미국을 만든 다원성의 힘(네이버 지식백과)>
실제로 미국인들이 존경해마지 않는 그들의 건국위원들(조지 워싱턴 초대 대통령 및 벤저민 프랭클린, 토머스 재퍼슨, 존 애덤스, 로버트 리빙스턴, 로저 셔먼 등 5인 위원회 등)이 1783년 9월 3일 파리조약(독립 승인) 이후 필라델피아에 모여 국가를 만들고 헌법을 만들자고 했던 핵심 정신도 ‘다양성’과 ‘개방’이었다.
그들은 서로 이해관계도 다르고 가치관도 다른 다양한 존재들이라는 것을 인지했고 미국이라는 나라를 ‘유토피아’ 즉, 이상적인 국가로 만들자고 했던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자는 의미에서 국가를 만들고 헌법을 제정하게 된 것이다.
“우리는 이해관계가 다르다”라는 것이 미국이라는 나라를 만들때 기본적인 인식이었고 “그럼에도 하나(의 연방정부)를 만들자”는 것이 그들의 이상이었다.
미 국회의사당에서 ‘에 플러리버스 우넘’이란 말에서 받은 신선한 충격을 구글에서 받게될지는 몰랐다. 구글의 창업정신도 이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구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지난 2004년 상장을 하면서 공개한 ‘창업자의 편지’에서 “구글은 기존에 있는 회사는 아니다. 우리는 하나가 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상장하기 까지 진화하는 과정에서 다르게 경영을 해왔다. 우리는 쏠리지 않고 정확하며 자유로운 정보에 의존하는 사람들을 위해 창의력과 도전적인 분위기를 강조한다(Google is not a conventional company. We do not intend to become one. Throughout Google’s evolution as a privately held company, we have managed Google differently. We have also emphasized an atmosphere of creativity and challenge, which has helped us provide unbiased, accurate and free access to information for those who rely on us around the world.
)”고 썼다.
구글이 무엇보다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고 이는 구글을 지탱하는 핵심 정신이라는 것은 구글이 상장하면서 최초로 투자자와 예비 투자자들에게 공개한 IPO 레터에 잘 나와 있다. <*** 참고 : 2004년 구글 IPO 창업자의 편지>
이처럼 구글이 추구하는 정신인 ‘개방성과 다양성’은 미국 기업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테크 기업 중 운영체제(OS)와 랭귀지를 보유한 플랫폼 회사들은 왜 하나같이 미국 기업인가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됐는데 이 것이 혹시 미국의 건국 과정과 헌법 정신과 맥이 닿아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아마존, 페이스북, 트위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등 플랫폼 기업들이 대부분 미국에서 탄생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계속>
글 : 손재권
출처 : http://jackay21c.blogspot.kr/2012/12/blog-post_1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