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은 왜 뉴스피드를 바꿨나? 인사이드 스토리

페이스북 새 뉴스피드 디자인 발표 현장
페이스북 새 뉴스피드 디자인 발표 현장

뉴스피드는 왜 맞춤형 신문인가?

“이번에 디자인과 기능을 개선한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만을 위한 최적의 맞춤형 신문(The most personalized Newspaper)을 제공하겠다는 것입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공동창업자겸 최고경영자(CEO)는 무대에 올라서자 마자 ‘몬트레이 뉴스’라는 신문을 화면에 보여주더니 ‘맞춤형 신문’이라는 화두를 꺼냈다.
몬트레이 뉴스라는 신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에 뉴스피드(Newsfeed)를 마치 ‘개인용 신문’ 처럼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바꿨다고 말했다.
페이스북의 뉴스피드 개편은 크게 세가지를 축으로 만들어졌다. 이미지를 더 크게 하고 뉴스피드 분류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웹을 바꿨다는 것이다. 이 발표의 뉴스가치(News value)로 보면 지난 ‘그래프 검색(Graph Search)’에 비하면 낮다고 볼 수 있지만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봤을 때는 훨씬 크다.
페이스북을 선두로 앞으로 모든 웹 디자인이 뉴스피드 개편을 반영할 것이기 때문이고 페북을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가 뉴스피드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fb-newsfeed-design
페이스북의 새 뉴스피드 디자인

뉴스피드, 왜 중요한가?

뉴스피드는 페이스북에서 정보가 흐르는 방식을 말한다. 개인이 페이스북에 글이나 사진, 동영상, 음악 등 콘텐츠를 올리면 이 것이 뉴스피드에서 흘러간다. 내 글이 올라오기도 하고 친구들이 ‘좋아요’를 누른 글이나 댓글을 단 것도 뉴스피드에 올라온다. 광고가 보여지기도 한다. 페이스북에 접속하면 보는 기본 페이지가 뉴스피드다.
반면 ‘타임라인(Timeline)’은 내가 페이스북에 올린 기록들이다. 내가 올린 글과 사진, 좋아요, 페북 친구들이 타임라인에 보여진다.
마크 저커버그는 이렇게 ‘뉴스피드’와 ‘타임라인’ 그리고 지난 1월 공개한 ‘그래프 서치’를 페이스북의 3대 기둥 서비스라고 규정하기도 했다.
뉴스피드가 중요한 이유는 페이스북이 이 개념을 도입한 이후 ‘웹(Web)’ 서비스가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웹 서비스를 보여주는 법은 ‘포털’의 백화점 방식이나 언론사 사이트의 큐레이션(Curation : 중요한 것을 크게 안중요한 것은 조그맣게) 방식이 주류였다. 네이버를 보더라도 네이버에 돌아다니는 정보가 움직이지는 않는다. 뉴스캐스트도 그 자리에 있고 실급검(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도 항상 우측 상단에 위치해 있다. 언론사 사이트도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기사가 가장 앞에, 크게 배치된다.
하지만 뉴스피드 등장 이후 조금씩 웹의 개념은 ‘흐르는(스트리밍)’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정보는 찾는 것이 아니라 흐르는 것이다”는 명제에 좀 더 맞는 개념일까. 중요한 정보, 덜 중요한 정보가 시간대별로, 아니면 개인이 맞춤형으로 설정한 대로 흘러간다.
이용자들은 이제 인터넷에 검색한 후 ‘사이트’를 찾아서 들어가는 것보다 여기저기서 흐르는 정보를 채집(Catch and Save)하기 원한다. 흐르는 정보를 채집했다가 시간날 때 꺼내보는 방식이다.
이 같은 변화는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만 영향을 준 것은 아니다. 트위터, 핀터레스트 등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도 영향을 줬고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PC 보급 확산에 따른 ‘모바일 경험’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모바일 기기는 화면이 작아서 생각하면서 정보를 얻기 보다 일단 ‘채집’해두고(페북의 좋아요를 누른다든가 트위터에서 리트윗 하거나 관심글로 저장) 회사나 집에서 다시 보는 방식이다.
앞으로 웹 브라우징은 이렇게 정보가 흐르는 ‘스트리밍’과 이용자들이 해매지 않게 해주는 ‘내비게이션’ 방식으로 바뀔 것으로 본다. (한국은 네이버의 영향으로 쉽게 안바뀌고 있을뿐이다)

지저분해진 뉴스피드

하지만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는 최근들어 이용자가 가장 불만을 나타내던 것이었다. 페이스북 이용자가 10억명이 넘어서고(한국에서도 1000만 이용자가 넘었음) 회사측이 수익을 올리기 위해 광고 영업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지저분’ 해진 것이다.
관계없는 사람의 글이 뉴스피드에 올라오는가 하면 팔로(Follow)한 미디어(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저널, USA투데이, 가디언 등)에서 보내오는 ‘뉴스’도 수시로 올라왔다.
가장 짜증나는 것은 광고다. 기사를 가장한 광고. 모바일 광고 등이 ‘스폰서’라는 이름을 달고 뉴스피드에 자주 올라왔다. 이용자가 떨어져 나가기 시작했고 특히 10대들이 ‘쿨하지 않은’ 페이스북에서 이탈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페이스북은 뉴스피드 개편을 고민하기 시작했는데 오늘(3월 7일) 고민의 결과물을 공개한 것이다.

그래서 바꿨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보도자료)

페이스북이 3월 7일 (태평양 표준시), 새로운 디자인의 뉴스피드를 공개했다. 기존에 보여 지던 뉴스피드의 모든 소식은 동일하게 받아 보게 되지만, 디자인 변경을 통해 가시성을 높인 것이다. 기존의 뉴스피드 대비, 콘텐츠를 강조해서 보여 주는 새로운 뉴스피드에서는 소식이 더 선명하고 다채롭게 보여 진다. 친구들이 공유하는 사진, 새로운 기사, 지도, 이벤트 등 모든 콘텐츠를 훨씬 밝고 향상된 화질로 볼 수 있다.원하는 소식을 빠짐없이 볼 수 있도록 기존의 뉴스피드 외에 4개의 새로운 피드를 추가했다. 

■ 모든 친구: 친구들이 공유하는 모든 내용을 보여 주는 피드
■ 사진: 친구들과 좋아하는 페이지의 사진만 보여 주는 피드
■ 음악: 사용자가 듣고 있는 음악에 대한 게시물을 보여 주는 피드
■ 팔로잉: 좋아하는 페이지와 팔로우하는 이들의 최근 소식을 보여 주는 피드

새로운 디자인의 뉴스피드에서 사용자들은 모바일, 태블릿, 웹 등 이용 환경에 관계 없이 같은 디자인, 같은 느낌으로 페이스북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 내 다른 기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이드바가 생겼으며 새로운 소식이 게시될 때마다 뉴스피드의 오른쪽 상단에 알림이 뜬다.

fb-feed-new-design
웹과 모바일의 디자인을 일치시킨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모바일로 중심 이동

이 같이 페이스북의 뉴스피드 발표 이후 반응 중 하나가 “뭐가 좋은줄 모르곘다”는 것이다.
당연한 반응이라고 본다. 화려하고 새 기능을 넣어서 바꾼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간결하고 통제 가능하게 바꿨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바일에서 더 위력을 발휘하게끔 만들었다.
페이스북은 새 뉴스피드를 발표하면서 ‘모바일 연관성(Mobile Constancy)’을 내세웠다. 페이스북 웹 페이지와 태블릿, 스마트폰용 페이스북을 일치시켰다는 말이다.
여기서 중요한 시사점은 웹 페이지를 먼저 디자인하고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한 것이 아니라 새 뉴스피드가 모바일에서 어떻게 보여지나를 먼저 디자인하고 이를 웹에 적용시켰다는 점이다.
오늘 저커버그의 소개를 받아 개편 디자인에 대해 설명한 줄리 저우(Julie Zhou) 페이스북 디자인디렉터와 별도로 인터뷰를 했는데 저우는 이에 대해 “이렇게 개편한 이유는 모바일 때문이다. 모바일 전세계에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우리가 그동안 디자인했던 모바일 페이스북은 기존 웹과 많이 달랐다. 한발짝 떨어져서 모바일을 보니 생각을 달리하게 됐다. 모바일은 화면이 작고 많은 것을 집어넣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간결했다. 그래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웹을 보니 너무 복잡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모바일을 중심으로 웹을 바꿀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페이스북은 마크 저커버그가 키를 잡고 회사 방향을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를 넘어 모바일이 회사의 중심이 되는 ‘모바일 센트릭(Mobile Centric)‘으로 이동 중이다.
이번 개편은 그 전략이 그대로 반영됐다.
저우는 이에 대해 “우리의 방향은 모바일이 먼저고 그 다음이 웹이다. 모바일은 인터넷이 주머니로 들어간 것이다. 어디에 가든 인터넷을 들고 다닌다. 여기에 디자인의 미래도 있다고 본다. 또 모바일 디자인은 어떤 것이 중요한지 알려준다. 무엇을 공유해야 하는지 무엇이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우리 회사의 문화는 이제는 디자인, 서비스를 모바일을 먼저 두고 그 다음에 웹과 다른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있다” 고 설명했다.
왜 모바일인가? 답은 나와 있다. 모바일로 접속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고 모바일로 콘텐츠를 올리는 사람이 PC 등 웹 기반 사용자보다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불편해하기 때문에 개편한 것이다.
페이스북은 ‘모바일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오늘 새로운 뉴스피드는 그 결과물이다. 이제 웹은 모바일이 먼저다. 나머지(굳이 PC라고 말하지는 않겠지만)는 그 다음이다.

fb-Julie_Zhou
이번 디자인 개편을 총괄한 줄리 저우.
상하이에서 태어나 5살때 미국으로 왔다고 자신을 소개한 저우는 중국계 이민 2세로
스탠포드 컴퓨터과학과 석사 졸업 후 바로 페북에 취업했다.

뉴스피드는 왜 개인용 맞춤 신문인가?

마크 저커버그는 새로운 뉴스피드가 “개인용 맞춤 신문(Personalized Newspaper)”라고 했다. ‘뉴미디어’도 아니고 왜 하필 ‘신문’인가? 구리지 않나?
그렇다. 신문은 구리다. 종이신문은 10만, 100만명이 종이에 인쇄된 똑같은 뉴스를 들고 다닌다. 더구나 나와는 상관없는 것 같은 뉴스가 지면을 채운다. 뉴스 가치는 이용자가 아닌 에디터(Editor)가 정한다. 독자가 필요한 정보를 당겨오는 것이 아니라 신문사가 독자들에게 정보를 주입(Push)시키는 것이 기존 신문이다.
신문이 위대한 저널리즘을 구현하고 있다면 이 같은 신문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최근 언론의 위기는 저널리즘을 너덜하게 만들고 점차 기사와 광고를 혼돈시키고 있다. 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 언론이 겪는 공통된 현상이다.
하지만 개인용 맞춤 신문은 다르다. 1면 톱은 내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뉴스가 나오고 사이드, 하단 기사도 내가 보고 싶어 하는 기사로 채워진다. 뉴스가 꼭 개인의 관심사를 반영해야 하나? 알아야 할 기사도 있어야 하지 않나?
맞다. 하지만 알아야할 기사도 에디터가 아닌 친구들이 중요하다고 추천해주는 기사가 더 나에게 맞는 뉴스일 것이다. 저커버그는 이 같은 생각으로 “뉴스피드는 맞춤형 신문이다”고 선언한 것이다.
‘사진’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더 돋보이게 한 부분도 이 지점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본다.
친구들이 공유하는 사진, 지도, 이벤트 등을 밝고 향상된 화질로 볼 수 있게 한 것은 한마디로 ‘1면 톱’ ‘사이드’ ‘하단 박스’ 등의 편집(editing)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에서 공유되는 콘텐츠의 40%는 사진이 차지하고 있다. 사진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 부분은 ‘구글플러스’의 장점을 가져왔다고 본다. 구글플러스는 언론사 뉴스를 보기 쉽게 만든 장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줄리 저우는 “영감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신문은 영감을 받을 수 있는 좋은 소스다. 하지만 내가 정보를 소비하는 시간이 많지는 않다. 10분이 있을 수 있고 2분이 있을 수 있고 한시간이 있을 수 있다. 신문을 보는 이유는 정보를 가장 빨리 알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내가 시간이 3분이 있으면 해드라인만 보고 10분이 있으면 1면만 보며 30분이 있으면 신문의 제목만 읽는다. 그러다 1시간 있으면 작은 기사도 보게 되는 것이다.
페이스북 뉴스피드도 이런 점에 착안해 바꿨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뉴스피드를 보다가 시간이 좀 더 있으면 ‘사진 피드’로 가서 살펴보고 더 여유 있으면 ‘음악 피드’에 가서 친구들이 올린 음악을 들을 수 있다.
‘팔로잉 피드’로 가면 유명인이나 신문, 페이지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페이스북의 이 같은 ‘신문 선언’을 들으며 스티브 잡스의 일화가 생각났다. 아이폰을 내놓을 때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이 당시 애플 매출의 70%를 차지하던 아이팟 매출을 잠식하지 않나?”는 비판을 받았다. 스티브는 여기에 이렇게 대응했다. “남이 잠식하는 것보다는 낳지 않나?”

저커버그는 뉴스피드를 통해 ‘페이스북=미디어’로 자리매김하려 하고 있다. 기존 미디어가 혁신하지 못하니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소셜 서비스가 잠식하고 있는 셈이다.

fb-Zuckerberg
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둘러쌓여 한마디 해주는 저커버그.
20대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노련하다.

디자인(Design)을 바꾼 것 뿐인데.

페이스북 뉴스피드 개편의 핵심 내용을 건조하게 따져보면 ‘디자인 변화’라고 볼 수 있다. 오늘 발표가 새로운 서비스를 개시한 것은 아니지 않나. 한마디로 사이트 디자인을 개편하는데 기자들을 불러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것이다.
구글 직원들은 그래서 종종 “페북 직원들은 좋겠다. 저런 내용도 CEO가 나와서 간담회도 해주고. 우리는 일주일에 서비스 몇개씩 론칭하는데 아무도 모른다”며 체념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페이스북에게 ‘디자인’이란 어떤 의미일까? 컬러를 바꾸는 것? 픽셀을 끌어 올리는것?
줄리에게 물어봤다. 그는 “디자인은 문제 해결(Problem solving)이다. 이것이 나와 우리 팀에 가장 중요한 철학이다. 많은 사람들이 외형적인 디자인만 보지만 이는 하나의 관점일 뿐이다.우리가 더 좋은 디자인을 한 것인가? 이 말은 이용자들이 더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유익한가?란 질문로 받아들인다. 사이트가 아름답고 화려하다고 하더라도 사용에 어려움을 겪으면 좋은 디자인이 아니다. 쉽게 이용하고 사람들이 그 디자인을 사랑해야 한다” 고 말했다.

물론, 더 많은 타깃형 광고가 진짜 이유

페이스북은 자선사업 단체가 아니다. 돈을 벌어야 한다. 그리고 모바일을 통한 돈벌이에 혈안이 돼 있는 회사이기도 하다.
‘비주얼’을 강조한 개편으로 광고주들에게 더 많은 땅을 줄 수 있게 됐다.
페이스북은 끊임없는 이용자 추적으로 ‘맞춤형’ 이라는 이름의 광고를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이번 개편 이후 페이스북 광고 영업팀은 광고주들에게 찾아가 “더 선명하고 더 개인 타깃형 광고를 할 수 있습니다. 웹과 스마트폰, 태블릿이 광고 유형이 같습니다. 모바일에서 해도 그대로 웹에서 반영이 됩니다. 이 것은 혁명적인 변화이며 페이스북이 선도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광고료를 올리기로 했습니다”며 영업을 하고 다닐지 모른다. 사실 이것이 뉴스피드 개편의 좀 더 근본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글: 손재권
출처: http://jackay21c.blogspot.kr/2013/03/blog-post_5568.html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