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새 전쟁 : 본사

미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지역은 ‘친구이자 적’이라는 뜻의 ‘프레너미(Frememy)’란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지역이다. 시장에서는 치열하게 “너 죽고 나 살자”는 식으로 경쟁하지만 경쟁의 근간을 이루는 서비스와 제품을 서로 공급하며 협력한다.
애플 아이폰, 아이패드의 핵심 부품을 삼성전자에서 만드는 것이 대표 사례다.

삼성과 구글이 협력 안드로이드 기반의 ‘갤럭시’라는 스마트폰을 만들고 있지만 서로 벗어나려 애쓰고 있’고 애플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북 등 핵심 제품도 구글 서비스가 없으면 빈 껍데기나 다름 없다. 구글도 애써 만든 서비스는 모두 애플이나 삼성 제품에 탑재 되기 위해 개발된다.

경쟁하면서 닮는다고 해야할까. 이들 기업은 최근 새로운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번엔 ‘새 본사(헤드쿼터)’다.
고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 겸 최고영영자(CEO)의 마지막 프리젠테이션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가 아닌 애플의 새로운 본사 ‘캠퍼스2(Campus2)’였다. 그는 쿠퍼티노시에 나타나 우주선 모양의 새 사옥의 비전과 모양에 대해 프리젠테이션했다. 쿠퍼티노 시민뿐만 아니라 실리콘밸리 지역 주민들도 우주선 모양의 사옥에 매료 돼 “우주선이라니… 역시 스티브 잡스”라고 입을 모았다.
여기에 자극을 받았을까. 구글, 페이스북, 삼성전자 등 애플의 프레너미들이 새 사옥 건설을 공개했다.

사옥이 중요한 이유는 기업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새사옥을 짓는다는 것은 그만큼 미래에 더 많은 직원을 채용한다는 뜻이며 사옥이 다 지어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최고의 기업이 되도록 하겠다는 각오이기도 하다. 스스로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생각되면 새 사옥을 짓기보다 있는 사옥을 매각해서 당장 현금화를 시도할 것이다.
애플, 구글, 삼성, 페이스북, 엔비디아 등 최근 새 본사 건설을 결정한 실리콘밸리 기업들은그들의 위상에 맞게 ‘명작(마스터피스)’이 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실리콘밸리 플랫폼 기업의 새 사옥은 크게 두가지 큰 흐름이 있는데 하나는 ‘아르콜로지(Arcology, 생태건축)’이며 또 다른 하나는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협업)’이다. 이는 사실 애플, 구글, 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들이 내세우는 공통된 세계관이기도 하다.

아르콜로지(Arcology)는 건축(Architecture)과 생태학(Ecology)를 합친 말로 건축학계 가장 주목받는 흐름 중 하나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만들되 친환경으로 설계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만드는 건축물(또는 도시)를 말한다.
뉴욕 멘하탄, 중국 상하이, 아랍에미레이트의 두바이 등 마천루가 즐비한 도시는 그 나름의 매력이 있다.

마천루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과 능력을 나타내는 인간이 만들어내는 위대한 성취임에 분명하다. 관광객들이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 상하이 진마오 빌딩, 두바이 부르즈 알아랍 등 마천루에 올라가 탄성을 지르고 사진을 찍는 것은 탁 틔인 전경때문만은 아니다. 더 높이 올라가려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고 더 높이 올라갔을때 쾌감이 극대화된다. 하지만 위압적으로 높이 서 있는 건물은 주변을 죽이고 주눅들게 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 지역은 나무보다 높은 건물을 쉽게 찾아볼 수 없다. 호텔도 10층을 넘지 않으며 대부분 4~5층으로 구성된 건물이다. 심지어 서니베일은 2층 이상 건물도 쉽게 지을 수도 없도록 하는 규제도 있다. 높이보다는 넓고 여유있는 건물이 대부분이며 경탄할만한 경치는 없지만 ‘자연과 인간’ ‘삶과 일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기에 의미있다.

구글, 애플, 삼성, 페이스북, 엔비디아 등의 신사옥은 모두 친환경 설계와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공통적으로 표방하고 있는데 이 건물들이 모두 완공되면 실리콘밸리는 세계에서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가장 많이 발전하고 친환경 사무 환경을 갖춘 집적단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흐름은 ‘콜라보레이션’이다. ‘함께 일하는 창의적인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실리콘밸리 기업들의 오랜 고민은 직원들의 ‘창의력’을 끌어 올리고 이를 통해 ‘혁신 제품(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인데 각 회사는 직원들의 창의력을 끌어 올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한다. 구글이 직장을 놀이터처럼 꾸미고 수영장도 만든 것은 ‘쉴때’ 창의적 아이디어가 나온다는 생각 때문이다. 이들은 ‘직원들이 모여서 자유롭게 대화할때 새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믿고 있다.
직원들이 혼자 연구하고 일하도록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같이 모여서 얘기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도록 독려한다. 그래서 직원들끼리 밥을 함께 먹게 하기 위해 회사에서 무료 점심, 저녁을 주기도 하고 운동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나누라고 피트니스센터도 회사내 위치해 있다. 새 사옥도 하나같이 협업에 어울리는 환경을 만드는데 가장 많이 신경을 쓰고 있다.

이들의 새 본사는 차로 10~20분 거리에 모여 있다. 이 건물들이 완공되는 2015~2016년에는 실리콘밸리의 지형이 또 다시 바뀌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볼거리이자 관광코스로 각광 받을 것이 분명하다.

*2015~2016년 사이에 완공될 실리콘밸리 기업 새 사옥들을 소개한다(최신 발표 순)

삼성전자 산호세 새 사옥 전경
삼성전자 산호세 새 사옥 전경

삼성전자 “울트라 그린”

한국의 대표 기업에서 아시아의 대표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실리콘밸리 지역에 2~3개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손영권 삼성전자 전략혁신센터(SSIC) 사장은 “11억달러(1조2000억원) 규모의 삼성벤처펀드를 조성, 다양한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이다. 향후 5년내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등 새 트렌드 속에서 엄청난 기회와 변화가 예상된다. 이런 변화 속에서 최고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려는 것이다”고 소개했다.

삼성전자에 산호세 북가(North Street)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법인 자리에 새 사옥을 지을 예정이고 마운틴뷰 또는 멘로파크에도 이노베이션센터(Innovation Center)를 신축할 예정이다.
산호세 건물은 2013년 7월 공사를 시작해서 2015년 중순쯤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현재 건물에 있는 200~300명의 직원들은 인근 밀피타스로 이주할 계획이다. 이 건물은 세계적인 건축 사무소 NBBJ가 설계했다.

삼성 반도체의 새 사옥엔 2개의 10층짜리 건물과 연구개발 공간, 클린룸, 데이터 센터, 카페 등 필요한 모든 시설을 한곳에 집적시킨 것이 특징이다. 110만 스퀘어피트의 공간에 2500명의 임직원이 들어가는 공간이다.

삼성이 NBBJ에 특별히 주문한 것은 다름아닌 ‘팀협업존(Team Collaboration Zone)’이었다. 실외가 개방된 디자인에 실외 복도, 공원등이 있어서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만나서 얘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화이트 메탈과 유리로 장식해서 실외 빛을 흡수하고 방열할 수 있게하는 등 친환경 설계는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이 건물을 ‘울트라 그린’이라고 부를 정도여서 미국내 최고 수준의 친환경 건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글로벌 위상에 비해 주목받을 만한 아이콘이 없었다. 소니가 잘나갈 때 만든 베를린의 ‘소니센터’를 생각해보자. 베를린 포츠담플라츠에 있는 소니센터는 지금도 베를린시 전체의 상징과도 같은 건물이다. 소니의 위상은 10년전에 비해 크게 약화됐지만 베를린 ‘소니센터’의 위상은 베를린의 발전과 함께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 건물이 새로운 삼성의 상징이 될 수 있을까? 상징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히지만 세계인들에게 삼성을 대표하는 얼굴이 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은 세계적인 기술기업이고 이 곳에서 애플, 구글과 직접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산타클라라 새 사옥
엔비디아의 산타클라라 새 사옥

nvidia-campus,C-V-373711-13

엔비디아 “과학과 예술의 만남”

그래픽 처리장치(GPU)라는 반도체로 모바일 시대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주목받는 업체 중 하나인 엔비디아(Nvidia)도 산타클라라 본사 신축 계획을 발표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블로그에 “새 건물은 엔비디아 직원들의 포부와 상상력을 대변한다. 엔비디아의 비주얼 컴퓨팅 업무 처럼 과학과 계술이 교차하는 장소가 도리 것이고 회사 비전의 상징이 될 것이다. 이 건물이 어떻게 스마트 설계와 기술, 영혼을 하나로 융합시키는지 목격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을 정도로 포부가 크다.

엔비디아 새 사옥의 개념은 ‘과학과 예술의 교차로’다.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로다”고 말한 것을 떠올리게 한다.
건물은 하버드대 출신의 젊은 건축가 하오 고(Hao Ko)의 겐슬러(Gensler) 팀이 설계했다. 하오 고는 최근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협업을 통한 공간 활용, 에너지, 환경, 비용 등을 고려해 설계를 완성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외형은 헥사곤(6각형)건물 2개가 붙어 있는 모양새다. 이 건물 역시 헥사곤 우주선이 내려앉은 모양이어서 도넛 우주선 모양의 애플 새 본사와도 자주 비교된다.

이 건물의 가장 큰 특징은 건물 자체가 하나의 사무실처럼 설계됐다는 것이다.
거대한 오픈 플로어가 있어서 직원들이 자유롭게 협업할 수 있게 한 대신에 ‘자기 자리’를 완전히 없앴다. 대신 회사 내에서 롤러블레이드를 타고 돌아다닐 수 있고 뛰어다닐 수도 있다. 아직 구체적인 내부 설계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매우 기대되는 건물이다.
위치는 현재 산타클라라 본사 맞은 편에 있는데 언제 시작하고 완공하게 될지는 밝히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매우 야심이 있는 회사다. ‘그래픽 칩’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반도체 회사이면서도 플랫폼을 지향하면서 날로 뻗어가고 있다. 과학과 예술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구글의 새 본사 '베이 뷰'
구글의 새 본사 ‘베이 뷰’

구글 “혁신에는 스케쥴이 없다”

구글은 전세계에서 가장 놀기 좋은 회사로 유명하다. 구글이 등장한 이후 기업들은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회사에서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넓은 임원실을 대폭 줄이고 직원들이 만나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카페테이라를 만든다든지 하는 것은 구글이 가져온 변화일 것이다.

현재 구글 마운틴뷰(MountainView) 본사 ‘구글플렉스(GoogleFlex)’ 빌딩은 대략 65개 정도 된다. 42, 43동 메인 건물 외 많은 건물이 마운틴뷰 곳곳에 흩어져 있다.

구글이 현재 구글플렉스 근처에 새 본사를 짓기로 결정했다. 현재 건물도 ‘인류가 처한 숙제를 푼다’는 그들의 웅대한 계획을 담기에 부족했던 모양이다.
구글 본사에서도 베이 지역이 보이는데 새 본사는 좀 더 베이에 가깝게 위치해 있다. 그래서 이름도 ‘베이뷰(Bay View)‘로 지었다. 삼성 새 건물을 설계한 NBBJ가 구글 베이뷰도 설계했으며 2015년 완공될 예정이다.

베이뷰도 구글의 철학을 엿볼 수 있다. 이 건물은 다소 복잡하다. 애플, 엔비디아의 우주선 모양이나 삼성의 3단 케익의 단순한 모양에 비하면 특징 지을 수 있는 외형이 없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건물은 직원들이 서로 만나서 우연하게 ‘무엇인가’를 발견할 수 있도록(Casual collision of the work force) 설계됐다. 베이뷰 캠퍼스를 돌아다니면 3분마다 직원 한명씩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직원들은 회사 지붕에서 캠핑을 할 수도 있고 죠깅, 자전거 등을 타고 돌아다닐 수 있으며 요가 클래스도 있다. 한마디로 “회사 지붕에서 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구글은 베이뷰 본사에 대해 “혁신은 예정된 스케쥴이 없다(You can’t schedule innovation). 우리는 직원들이 아이디어를 가지고 서로 만나서 기회를 창출하기를 원한다”고 설명했다.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개인이 우연히 모여 아이디어의 불꽃을 튀겨야 한다는 것이 구글의 생각인 것이다. 베이뷰 사옥은 이 같은 철학은 반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봤던 구글의 혁신은 시작에 불과하다.

dezeen_Frank-Gehry-to-design-new-Facebook-headquarters-2

페이스북의 '페이스북 웨스트'
페이스북의 ‘페이스북 웨스트’

페이스북 “프랭크 게리와 테크의 만남”

페이스북은 멘로파크 현재 본사 옆에 새 사옥을 짓고 있다. 이름은 ‘페이스북 웨스트(Facebook West)’. 21세기 가장 위대한 건축가 중 한명인 ‘프랭크 게리’가 설계했으며 2015년 봄에 완공될 예정이다.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LA 월트디즈니 콘서트홀, 보스톤 MIT, 시애틀 대중문화 뮤지엄 등을 지은 현존 최고의 건축가 프랭크 게리의 새로운 명작이 될지 주목된다.

페이스북도 ‘아르콜로지’와 ‘콜라보레이션’의 결합을 추구했다.
마크 저커버그가 원한 것은 이 거대한 건물이 같은 지붕을 쓰는 하나의 사무실이 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타임라인에 정보가 흐르듯 본사 건물도 사람과 창의적 아이디어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설계 됐다.

엔지니어들이 언제 어디에서나 회의할 수 있도록 수백개의 책상과 화이트보드를 배치했으며 회의실과 사무실이라는 기존 구분을 무너트렸다. 그렇다고 개인 공간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혼자 조용히 일할 수 있는 공간도 따로 만들었다.
마크 저커버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신사옥은 세계에서 가장 개방된 플로어(Floor)를 이룰 것이다. 수천명의 엔지니어들이 하나의 큰 공간에서 협업할 수 있도록 했다. 완벽한 엔지니어를 위한 공간이 될 것이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지붕은 산책로를 포함한 정원으로 만들어 엔지니어들이 건물 지붕에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했다.

마크 저커버그는 애초 네 개의 건물로 신사옥을 지으려 했는데 프랭크 게리가 이 건물을 하나의 큰 건물로 통합하고 지그재그 형태의 각진 벽을 사용하고자 제안했다고 한다. 페이스북 멘로파크 본사 건물이 창고와 격납고가 이어진 것처럼 돼 있어 단조로워 보이기 때문이다.

프랭크 게리는 기존 문법을 파괴하고 재료의 특성을 극대화한 건축물로 현존 최고의 건축가의 반열에 올랐다. 페이스북도 소셜네트워크의 영역을 개척, 웹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프랭크 게리와 마크 저커버그의 만남, ‘페이스북 웨스트’는 어떤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기대된다.

apple-headquartersfour-stories-tall-with-lots-of-curved-glasswere-not-sure-what-to-make-of-this-one-so-well-just-call-it-running-late

애플 “우주선이 내려앉았다”

애플은 규정하기 힘든 회사다. 세상에서 단 하나. 유니크(Unique)라는 단어 외에는 설명이 안된다.
그들이 짓는 새 본사도 그렇다. 구상 하나만으로도 실리콘밸리 각 회사는 물론 건축학계에도 충격을 줬다. 우주선이라니. 단순하고 명확한 디자인과 나무로 둘러쌓인 환경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단순함과 아름다움을 닮았다.

애플의 새 사옥 ‘캠퍼스2’는 실제로 도넛 모양의 우주선이 숲에 내려 앉은 모양이다. 애플이 2011년 11월 쿠퍼티노시에 제출한 설계도와 건축 계획에 의해 이 사옥의 실체가 좀 더 자세하 공개됐다. 애플의 제품처럼 본사도 이후 발표된 다른 회사에 큰 영향을 줬다.
애플 캠퍼스2의 특징은 ‘애플스럽다’란 것이다. 최근 발표된 구글, 페이스북, 삼성 등의 건물들이 ‘협업’을 강조하면서 직원들의 일하는 칸막이를 없앤 것이 큰 특징이라면 애플 건물은 직원들이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개인 공간을 주고 모두 실외, 즉 숲을 바라보고 일할 수 있게 했다. 대신 컨퍼런스룸과 강당을 많이 설치해서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애플은 ‘소통’보다 ‘비밀주의’가 익숙한 회사다. 많은 전문가들은 애플의 새 사옥에 ‘스티브 잡스 박물관’이나 사진 촬영 장소, 기념품샵 등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장소가 들어가 있기를 바라지만 캠퍼스2의 설계도에는 그런 장소는 없다. 지금도 애플의 인피니트 루프 1에 관광객들이 많이 다녀가지만 ‘컴퍼니 스토어’외에는 방문할 수 있는 장소는 전혀 없다. 하지만 관광객들은 불평하지 않고 이해한다. 왜? 애플이니까.

스티브 잡스가 우주선 모양의 사옥을 구상한 것은 그의 ‘우주적, 동양적 세계관’이 담겨 있다고 보여진다. 그는 전 지구적, 우주적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했다.

쿠퍼티노 현재 본사 이름도 무한궤도(인프니트루프)다. 언젠가는 출발한 자리에 돌아오게 돼 있다. 그리고 어느 누구나 우주에 ‘단 하나의 존재’일 뿐이다. 스티브 잡스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제품도 그런 정신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캠퍼스2’도 세계에 단 하나뿐인 건물이 될 것이다.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호기심을 자극할 것이 분명하다.

글 : 손재권
출처 : http://bit.ly/11AO2fL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