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 (10) – 해커정신과 아르파넷의 꿈

from wheels.org
from wheels.org

유닉스와 UC 버클리, 그리고 MIT에서 일을 했던 리처드 스톨만, 그리고 리눅스로 이어지는 역사에 공통적으로 연상되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해커(Hacker)이다. 페이스북이 기업공개를 하면서, CEO인 마크 주커버그가 주주들에게 남겼던 편지에 가장 중요하게 이야기 되었던 것이 또 “해커정신(Hacker Way)“이다.

마크 주커버그가 언급한 해커정신은 백마디 말과 계획을 세우기보다 바로 실행해보고 혁신을 하는 문화이다. 실패를 하더라도 빨리 실패하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어서 더 나은 서비스와 경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가 남긴 편지의 내용을 일부 인용한다.

페이스북은 원래 기업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 세상을 더 열린 공간과 서로 연결된 곳으로 만드는 사회적 임무를 성취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사람은 관계를 통해 새로운 생각을 나누고, 세상을 이해하며, 궁극적이고 장기적인 행복을 추구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해커문화와 해커정신은 어떻게 탄생한 것인가? 그리고, 인터넷의 시작은 이러한 해커문화와 무슨 관련성이 있는 것일까?

해커문화의 탄생과 해커정신

해커라는 용어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스튜어트 브랜드가 롤링스톤에 기고한 “스페이스워(Spacewar)” 기고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스튜어트 브랜드는 매사에 세밀하게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사람이 ‘플래너(Planner)’라면 이와 반대로 즐거움에 이끌려 임의적으로 새로운 혁신을 하거나 발명하는 사람을 ‘해커(Hacker)’라 불렀다.

제록스 파크 연구소의 해커들은 PDP-7 컴퓨터를 이용해서 우주전쟁을 테마로 한 텍스트 게임인 스페이스워 게임을 개발하고 즐기기 시작했는데, 이렇게 여러 사람들이 게임을 즐기기 위해 네트워크가 필요했고, 이때 이용했던 네트워크가 오늘날 인터넷의 효시인 아르파넷(ARPANET)이 되었다. 이와 같이 컴퓨터는 대항문화와 연관이 되었고, 컴퓨터 게임과 해커들의 문화,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초기 인터넷까지 제록스 파크 연구소에서 실연이 되었는데, 이는 오늘날의 웹 문화와 별로 다를 것이 없는 것이다.

스튜어트 브랜드의 스페이스워 기고문에 등장하는 파크 연구원 중에는 최초로 태블릿 컴퓨터를 구상했던 앨런 케이(Alan Kay)도 등장한다. 앨런 케이는 스튜어트 브랜드와 엥겔바트의 데모에서 컴퓨터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얻었다고 하는데, 이전까지 컴퓨터를 계산과 시뮬레이션 등의 용도로 생각했다가 이 때부터 개인용 컴퓨터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앨런 케이가 구상한 개인용 컴퓨터는 제록스 알토(Xerox Alto)로 현실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티브 잡스도 제록스 알토에서 영감을 얻어 매킨토시를 개발하였다. 앨런 케이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한발 더 나아가 컴퓨터를 미디어로 소비기기로 취급한 최초의 태블릿 PC인 다이나북(Dynabook)도 구상했다. 다이나북은 태블릿의 형태이면서, 터치패널 입력도 구현하였는데, 이것이 1968년의 일이니 무려 40년의 시간이 지난 뒤에 아이패드라는 태블릿으로 꽃을 피우게 된다.

냉전의 산물에서 인터넷의 효시가 된 아르파넷

제록스 파크에서 스페이스워를 즐겼던 해커들이 이용한 아르파넷은 오늘날 인터넷의 전신이 된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아르파라는 이름은 미국의 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약자에서 따온 것으로 1969년에 개발되었다. DARPA는 미국이 1957년 소련(구 러시아)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쏘아올리자, 그 다음 해인 1958년 첨단기술 연구를 위해 설립한 곳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활약했던 군과 대학을 포함한 민간연구기관의 협력체제를 다시 부활시킨 것이다.

미국 전역의 유수의 연구기관들의 연구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교환하는 인프라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동시에 냉전 당시에 가장 위협적인 시나리오였던 핵 공격이 있을 경우에 통신기능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 기술이 필요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화망과 같이 각각의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형태보다는 효율성은 다소 떨어지더라도 우회를 통해서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분산형 네트워크 구조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잘게 잘라서 복수의 경로를 통해서 보내더라도 수신 측에서 이를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패킷(packet)을 활용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일부가 파손되어도 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간의 통신 규칙인 프로토콜을 정해서, 프로토콜만 준수하면 손쉽게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르파넷은 미국 고등연구계획국이 연구비를 투자한 여러 연구기관을 연결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최초의 노드간의 상호연결은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Stanford Research Institute) 연구소간에 연결되었다. 그래서, 10월 29일을 인터넷의 탄생일로 간주하기도 한다.

(다음 편에 계속 …)

참고자료:
Spacewar, Stewart Brand, Rolling Stone, Dec 7 1972
Dynabook 위키피디아 홈페이지
ARPANet 위키피디아 홈페이지

글 : 정지훈
출처 : http://health20.kr/2945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