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ify의 함정

Spotify-mod

우선 북미시장에서 음악 서비스의 판도를 바꾼 스트리밍 서비스 Spotify에 대한 분석을 보자. 어떤 밴드의 경우 자체적으로 계산해보니 대략 6,000번 정도 스트리밍이 되면 1불정도의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불의 수익이 발생하려면 한곡당 무려 60만번의 재생이 발생해야 하는 것이다. 

Spotify의 발표에 따르면 한번 스트리밍에 $0.006-$0.0084정도가 음반회사로 배분된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는게 아니라 음반회사도 자신들의 cut을 떼어야 한다. 극히 소수를 제외하고 Spotify를 통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컨텐츠 저작자는 사실상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 소비자에게는 한달에 몇 불 정도의 적은 금액으로 수백만곡에 달하는 음원에 내것처럼 액세스 할 수 있기 때문에 더할나위 없이 좋다. Spotify는 이러한 consumer benefit(소비자 이익)을 토대로 회원을 끌어들이고, 거대한 회원 베이스를 지랫대로 컨텐츠 저작자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들어올 수밖에 없도록 해놓은 서비스이다.

과연 이것이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한 모델일까? 인터넷의 힘으로 빠르게 소비자 네트워크를 형성해 “채널 장악”을 무기로 컨텐츠 저작자들이 참여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드는 것까지는 좋은데, 위의 계산에서 보다시피 컨텐츠 저작자는 적정 대가를 받을 수 없다. 양질의 컨텐츠일수록 필연적으로 저작 비용이 들어 기본적으로 비즈니스 모델상의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셈이다.

때문에 참여자들이 해당 플랫폼에서 수익을 챙기기보다는 단순 홍보의 채널로 사용하고 실제 돈을 버는 것은 외부에서 고민하게 된다. 동일한 현상이 유튜브의 MCN(multi channel network) 에서도 보여지고 있는데, 이 현상이 계속된다면 플랫폼 사업자들의 이탈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실제로 Spotify나 Pandora등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큰 적자를 기록중이다. 네트워크나 채널 사업자로 위치를 공고히 한 업체들도 수익 창출을 위해 “컨텐츠가 왕이다”의 진리를 되새기며 오리지널 컨텐츠의 직접 생산에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글: 김창원
출처: http://goo.gl/xHZJFz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