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컨퍼런스나 세미나에는 발표자의 발표가 끝나고 Q&A세션 이 있다.
보통 시간관계상 가능하면 5명정도 질문을 받는게 보통인데, 질문의 대답을 통해 발표내용만큼이나 좋은 내용을 듣기도 한다. 나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질문하기보다 누군가가 좋은 질문을 해주길 기대하는 편이였는데, 최근에 이런 마음을 바꿔봐야 겠다고 생각했다.
# 우리는 종종 질문을 답으로 간주하고, 두려워 한다.
최근에 2010년 , G20 폐막식때 오바마대통령이 한국기자에게 여러차례 질문을 청했지만, 한국기자들은 아무도 질문을 하지 않은 에피소드가 다시금 회자되었다. 사건인 즉 , 오바마대통령이 G20폐막식에서 한국이 개최국의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고 평가하며 한국기자에게 질문을 받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적이 흐르고 한 기자가 일어나서 , 아쉽지만 자신은 중국기자이고 아시아를 대표해서 질문할 기회를 달라고 요청한다. 오바마는 딱 잘라서 한국기자에게 발언권을 우선하겠다고 재차 얘기하지만, 객석은 조용했고 결국 중국의 CCTV 기자 루이청강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급작스럽게 발언권을 요청한 중국기자와 분위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 다시보아도 아쉬운 순간이다. 루이청강의 질문의 내용은 “최근 미국 정부가 내놓은 여러 대책이 미국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들을 희생시키는 것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 였는데, 당시 질문에 내용에 대해 다소 무례하다는 논란이 있기도 했다.
외국인의 적극성이나, 질문의 옳고 그름을 논하기보다, 질문에 대한 의식의 차이를 얘기하고 싶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질문하기전에 내가 하고자 하는 질문이 상황에 어울리는지 , 다른사람들에게 어떻게 들릴지, 또는 질문이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속에 질문속에 내가 가진 지식을 드러내는데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 모든 것은 남들의 시선을 신경쓰는것에서 시작한다. 이 중국 기자의 질문에서는 그런모습이 없었다. 만약 오바마의 반응과 자국에서의 평가 등 , 이후의 상황을 두려워 했다면 기자는 질문할 수 있었을까.
이후 CCTV기자인 루이청강이란 이름은 순식간에 인기 검색어로 떠올랐고 루이청강의 웨이보에는 4000개의 댓글이 달리는등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고 한다.
# 좋은 질문은 없다. 질문은 질문일 뿐이다.
아이들의 질문은 당당하고 거침이 없다. 하지만 아이들보다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배운 어른들의 질문은 조심스럽다.아이러니한 일이다. 질문을 하면서, ”이게 맞는 질문인지 모르겠는데…” 라고 운을 떼는 어른들에게 서강대 철학과 최진석교수 ”자신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 강의를 통해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고 얘기한다 .
질문은 “질문을 했다는 사실”만 있을 뿐이지 “옳고 그름”이 없다는 것.
실제로 세상을 놀라게 하는 아이디어들의 대부분은 질문에서 시작한다. ”종이의 여백에 광고를 넣으면 어떨까 ?” 이것은 현재 국내 90여개 대학, 26만여명 대학생들의 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는 애드투페이퍼 서비스의 시작이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이란 것은 세상의 “앎”에서 아주 미미한 것일 뿐, 모르는 것이 많은게 당연하다. 이제 질문을 하기도 전에 옳고 그름을 따지며, 주저하지 않을 이유가 충분하다.
# 질문을 하는 나의 즐거움을 따른다
이미 알고 있는 문제라 하더라도 솔루션은 다를 수있다. 질문에 대한 해석과 답변은 개인마다 달라서 생산적인 토론과 논쟁의 시작이 되기도 한다. 지식인과 위키피디아를 섞어놓은 quora (https://www.quora.com)를 통해 질문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Respondent 들의 다양한 근거와 경험은 가치있는 답변을 이끌어 낸다. 앞으로 이런 서비스는 한국의 문화도 조금씩 변하게 할 것이다.
조금 후회되는 것은 대학생활 이렇게 적극적으로 질문했다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다. 교수님과 동기들과 또다른 배움의 기회와 의미있는 시간들을 만들었을텐데.
”질문을 두려워 하지 말자. 질문은 질문일 뿐이다.“
글 : 장선향
출처 : http://goo.gl/ctNqAc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