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스타트업 게스트 (2)] 소프트뱅크벤처스 문규학 대표

만날 때마다 화두를 던져주는 사람이 있다.그 화두는 꼭 취재의 화두만은 아니다.10년 먼저 태어나 세상을 살아본 선배로서,성공한 한 인간으로서 던지는 인생에인생에 대한 화두이기도 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벤처들을 만나고 겪고 누구보다 치열하게치열하게 고민해 본 벤처인으로서 창업에 대한 화두이기도 하다. 유독 나에게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소프트뱅크벤처스 문규학 대표라면 벤처인이나 이 업계에 있는 이들에게 여러가지 화두를 던질수 있을 듯 하다.작년 이맘때 문 대표는 ‘혹독한 금융위기의 시절에도 창업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이들이 있다’며 한국 스타트업에 대한 희망섞인 전망을 전망을 했었다. 올해도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문 대표를 만나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2010년이 갈 길을 길을 재촉하는,추위가 한결 누그러진 어느 날 문 대표를 만나러 청담동 사무실을 찾아갔다.찾아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0년과 2010년의 차이는?
 올해 벤처 창업 열기에 대해 문 대표는대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통계를 보면 올해 벤처 창업 숫자가 최근 몇년간 가장 많은 것으로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숫자는 숫자일 뿐입니다.”(하하)


 어쨋든 숫자상으로 올해는 2000년 이후 IT분야의 창업이 가장 많은 한 해였다.그러면해였다. 2000년과 2010년의 차이는 뭘까. 한국과 미국에서 이 시기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한국과 미국의차이점은 무엇일까.문 대표는 나와 만나기 전 트위터에서 누군가의 질문을 받고 이런 문제를문제를 고민해 봤다고 한다. 내가 물어보고 싶었던 바로 그 질문이다.


“올해 “올해미국에서는 소셜이라는 영역에서 버블적 양상마저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왜 한국에서는 그런게 안보이는 걸까요. 한국은 아직 회복이 안된 것인가,아니면 버블에서 자유로운 것인가.유독 한국 시장만 차분하고 이성적인가?이성적인가? 웹 2.0 화두는 뜨다 말았고 소셜 화두는 제대로 아직 실행조차 못되고못 되고 있습니다.한국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왜 일까요?”


 질문을 던지러던지러 왔다가 질문을 받게 됐다.
 “그래도 올해 한국에서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습니다. 한 박자박자 늦긴 했지만요.”
 “맞습니다.개별 스타트업들의 각개약진,고군분투는 정말 눈물겨울 정도입니다.그런데 거기에서 힘이 느껴지지느껴지지 않습니다. 정돈되서 보이는 게 없습니다. 생태계를 이끌어갈 흐름이 보이질 않습니다.”


◆한국엔 ◆ 한국엔 아직 벤처생태계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오늘의 화두는 생태계구나.그의 말을 들으면서 직감했다.직감했다.
 “한국의 벤처 산업에서는 생태계가 붕괴됐습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아예 형성되지도 않았다고 봐야 합니다.아카데미+기업+금융시스템+법률+회계+언론…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의 발전을 위해 유기적으로 돌아가는 이런 실리콘밸리식 조합이조합이 한국에서는 나타나질 못했습니다.”


 맞는 말이다. 하나의 신생 기업이 시작할  법률,회계,금융 등 각 부분에서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면서도 기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그런 움직임이 한국에서는 없다.
 “언론의 모습만 봐도 사실 알 있습니다. 벤처나 스타트업 담당 기자의 숫자나 그들의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성 등의등의 현실이 어떻습니까. 환경이 조금만 달라져도 관련 취재 부서가 없어지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언론은  사회의 거울이니 그것만 봐도 미뤄 짐작할 수 있죠”


 그의 이런 지적에도 사실 할 말이 별로 없었다.
 “한국에서는 벤처생태계가 만들어지다가 말았습니다.2000대말았습니다. 초반 버블붕괴 때문이었죠.정부가 주도해서 이렇게까지 벤처를 지원한 사례는 전 세계에서도 별로 찾아보기 힘들죠. 그나마 그것때문에 벤처 생태계가 만들어질 뻔 했지만 그 뿐이었습니다.”


◆생태계는 관 주도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의 말이 이어졌다. “미국에서보다 한국에서의 벤처 버블은 혹독했습니다.2000년 버블의 가장 뼈 아픈 점은 젊은이들에게서 꿈을 빼앗았다는 점일 겁니다. 그 뒤로 직업의 안정성이 젊은이들이 졸업을 할 때 최고의 가치가 됐습니다.이 사회에서 도전 정신이 사라진 거죠.”


 한국에서 벤처생태계가 결국 만들어지지 못한 이유는 뭘까.답을 내긴 어렵다.그는 이에 대해 “생태계는 결코 관 주도로주도로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세계 어디를 봐도 산업의 생태계를 관 주도로 만든 곳은 없습니다. 한국도 2000년에 이미 이 경험을 했습니다. 정부가 그렇게 지원을 했지만 생태계는 형성되지형성되지 않았죠.”


 “‘아이를 망치려면 아이에게 돈을 쥐어주면 된다’ 이런 말이말이 있습니다. 이런 말은 사실 기업에게도 그대로 적용됩니다.기업을 망치려면 정부가 기업에게 돈을 주면주면 됩니다.정부가 무턱대고 지원하면 공돈이 생겼다는 의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모럴해저드에 대한 댓가를댓가를 치룬 셈이죠.”
 벤처캐피탈(VC)이 돈 잘 버는 것을 보여줘야 연기금 등 장기장기 투자자금이 이 분야로 들어오게 마련이다.VC가 돈을 잘 벌려면 당연히 창업하는 사람들이사람들이 있어야 한다. 투자할 만한 절대적인 대상이 없으면 이게 힘들어진다. 결국 문제는 다시 창업하는창업하는 사람들이 없다. 젊은이들의 도전 정신이 사라졌다는 문제로 귀결된다.


 “3000억원을 투자할투자할 수 있는 투자회사가 있다고 칩시다. 300개의 투자할 회사가 있으면 10억씩 투자해서 위험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소신투자도 할 수 있구요. 하지만 투자할 회사가 3-4개 밖에없다고 하면 한 회사당 투자 금액이 커집니다.그러면 리스크도 그만큼 커지죠.소극적일 수 밖에 밖에없습니다.이 회사가 돈을 벌 회사인지부터 따져볼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게 한국의 현실입니다.현실입니다.” 


◆진정한 소셜커머스는 대량생산 이전으로 회귀하는 것
 그렇다고 VC가 투자할 회사가 없다고 비관만 할 수는 없는 법. 그래서 소프트뱅크벤처스는 인큐베이션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있다. 중단됐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도 다시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결국 운영의 문제였다는 점을 깨닫고 다시 기획을 하고 있다.
 좀 비관적인 이야기가이야기가 이어진 것 같다. 하지만 문 대표나 나나 한국의 벤처 생태계,스타트업의 미래에 대해대해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올해 화두가 됐던 소셜커머스에 대해 여담 삼아 잠깐 물었다.
 “지금 한창 주가가 오르고 업체들이 몰리는 소셜커머스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세요?”
 “사실 지금 국내의 소셜커머스 업체들이나 그루폰 방식은 소셜커머스라고 소셜커머스라고 할 수 없습니다.그냥 공동 구매죠. 거기엔 사실 별로 소셜적인 요소가 없습니다.”
 “그쵸.현재로선 “그쵸. 현재로선 이건 그냥 집단 구매에 의한 할인일 뿐이죠. 소셜도 뭣도 아니라고 할  있습니다. 그럼 소셜커머스의 모습은 어떤 게 될까요?”


 “제 생각엔 산업혁명으로산업혁명으로 인한 대량생산 이전으로 회귀할 수 있게 해주는 게 소셜커머스라고 생각합니다. 개인화된 경험을경험을 소셜네트워크를 통해서 실현하는 거죠. 사람들이 소셜네트워크에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요구하고 비슷한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구매에 나서거나 비용을 부담하고 구매에서 협동을 하는 것이 오히려 소셜커머스에 가까울 겁니다.”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사회적 자산화해야
 “2000년과 2010년 10년을 거치면서 한국과 미국의 가장 큰 차이점  하나가 뭔지 아십니까”
 “성공한 사람들의 경험담이 전수되지 못하고 살아남은 기업들의 경험이 축적되지 못했다는 것 아닐까요”
 “제 생각엔 꼭 성공에 국한되지 않는  같습니다. 성공이든 실패든 이를 사회적 자산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우리는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경험의못했습니다. 경험의 사회화,사회적 자산화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저는 이런 의문을 계속 갖고 갖고 있습니다.왜 한국에서는 성공한 기업인이 숨어 지내는가.”


 그의 말을 듣고 보니 수긍이 갔다.인터넷 벤처에서도 성공하신 분들은 예외없이 모두 숨어(?) 지내고 있다.이해진있다. 이해진 NHN 의장이 그렇고 김정주 넥슨 창업자가 그러하며 김택진 엔씨소프트 사장이 그렇다. 이재웅그렇다.이재웅 다음 창업자도 마찬가지고 네오위즈를 만든 나성균 창업자도 그러하다.


이들이 이들이 꼭 문자적으로 은둔한다는 것이 아니다. 만나기도 힘들고 이들의 구체적인 경험담을 듣기도 힘들다는힘들다는 뜻이다.문 대표의 말을 들어보면 (기자들만 이분들을 만나기 힘든 줄 알았는데)업계 안에 있든 밖에 있든,투자자든 피투자자든 이들의 경험을 전수받을 수가 없다. 결국 우리는성공과 실패의 과정을 자산화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이들만의 탓은 아니다.이들이 숨어 지낼 수 밖에 없는 어떤 현실이 있을 것이다. 언론의 과대 포장이나 사냥몰이식 취재도취재도 한 몫 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그런 면에서 보면 김범수(NHN창업자),장병규(네오위즈 첫눈 창업자),권도균(이니시스 창업자) 등 벤처 1세대들이 엔젤투자를 진행하고 현장을 다니면서 후배들을 만나고 다니며 창업을 독려하고 직접 투자를 하는 것에 대해 그는 “한국의 벤처 생태계를 위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미국에서 성공한 벤처인들이 엔젤투자자로 변신해 후배들을 이끌어준 것처럼 한국에서도 그런 현상이 최초로 나타나고 있다는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분들이 엔젤투자한다고 스타트업이 반드시 성공한다는 보장은보장은 없습니다. 역시나 무수한 실패를 경험할 겁니다. 하지만 그러면서 투자와 창업,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가문화가 만들어집니다.벤처 생태계 형성은 거기서부터 시작될 겁니다.”

▶문규학 대표는…문규학 소프트뱅크코리아,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는 1988년 고려대를 졸업한 뒤 삼보컴퓨터에서 인력개발팀,회장실,전략기획팀 등에서 일했다.1990년대 초반 당시 삼보컴퓨터가 무선호출기(삐삐0 사업권을 획득, 나래이동통신을 설립할 때 태스크포스팀에서 실무를 맡기도맡기도 했다.

 이후 문 대표는 1996년 미국 유학 길에 올라 필라델피아에 있는 드렉셀(Drexel) 대학에서 MBA 마케팅 과정을 전공하던 중 일본 소프트뱅크가 벤처투자를 위해 해외에 설립한 첫 번째 창업투자회사인 미국 소프트뱅크 테크놀로지 벤처스(SBTV)에 입사하게 된다.된다.
 1998년 귀국한 문 대표는 소프트뱅크미디어 대표 겸 소프트뱅크벤처스 부사장을 맡았으며 2002년부터2002년부터 소프트뱅크코리아ㆍ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를 맡았다.


글 : 임원기


출처: http://limwonki.com/407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