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 안 되면 안 될만한 사정이 있게 마련이다. 물론 잘 되는 곳은 잘 될만 하니까 잘 되는 것이다.
야후 이야기를 하자. 1994년 최초로 인터넷에서 검색을 통한 시작 페이지로서의 역할로 세상에 등장했고 이후 거대한 미디어 제국을 만들었으며 여전히 꺼지지 않은 불씨가 남아 있다.
야후는 최근 핵심 인터넷 사업을 우리 돈 약 5조 5000억원에 버라이존에 매각했다. 야후 본사는 알리바바 지분과 야후 재팬 지분을 유지하는 정도로 남아 있게 된다.
버라이존은 거대 통신사로 AOL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메일과 메신저, 베이비붐 세대 등 전세계 이용자 10억 명을 추가로 확보하게 되어 통신 + 미디어 + 포털 서비스를 아우르는 미디어 그룹으로 변모하고 있다.
나는 버라이존이 야후 인터넷 서비스를 산 것도, 야후가 핵심 사업을 매각한 것도 모두 잘 한 일이라고 평가한다. 지금 현재로서는 최적의 결정이라고 봐야 한다. 이미 많은 기회를 놓쳐버린 야후로서는 지금이 마지막 남은 기회였을지도 모른다.
야후도 우리가 흔히 아는 스타트업 처럼 아주 작게 시작했다. 1994년 1월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 다니던 대만 출신 제리 양과 데이비드 파일로가 사이트를 만들고 법인은 그 다음 해에 세웠다.
첫 출발은 마치 현재의 블로그 처럼 “Jerry and David’s Guide to the World Wide Web”라는 이름의 유용한 사이트의 목록을 하이퍼링크로 연결시켜 놓은 문서가 전부였다.
당시 FTP, 유즈넷, 이메일 등 인터넷은 각각의 서비스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이후 월드와이드웹(WWW)으로 모든 커뮤니티, 미디어, 이메일, 메신저를 모아둠으로써 인터넷이 곧 WWW로 인식하게 하는 데 가장 큰 공헌을 했다. 물론 이들이 이런 확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사업 초기에 이들의 열정만 보고 투자해준 세콰이어 캐피털의 마이클 모리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 이후에 소프트뱅크 손정의가 125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하여 글로벌 지사 설립에 힘을 보태는 계기가 된다.
야후는 초기에는 트래픽만 많은 괴물 사이트였으나 그 트래픽에 욕심이 난 광고주들로부터 배너 광고 제안을 받았고 이를 전격적으로 게재하면서 매출을 만들 수 있었다. 첫 흑자는 설립한 지 4년만인 1999년이었다.
이후 야후는 승승장구하는 듯 보였으나 너무 젊은 조직이어서 그랬는지 모르지만 뭔가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검색과 검색광고도 최초로 시도했으나 이후 구글에 밀리고, 인터넷 오픈마켓도 최초로 시작했으나 이내 이베이에 자리를 내주었고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인터넷 뉴스 미디어 서비스, 지역별 생활정보 서비스, 증권 정보 서비스, 인터넷 채팅 서비스, 지도 서비스 등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서비스를 만들었지만 이용자들은 야후보다 구글, 이베이, 아마존을 손을 들어주었다. 2010년 이후 모바일로의 급격한 패러다임 전환은 야후를 더욱 궁지로 몰아넣었다.
구글 출신의 마리사 메이어가 2012년 이후로 야후를 이끌고 있지만 마리사 메이어 역시 연이은 실수를 저지르고 만다.
플랫폼 역할에서 좀더 직접적인 콘텐츠 생산에 주력했던 것이다. 인터넷 영상을 만들고 저널리스트를 고용했다. 하지만 거대한 인터넷의 바다에서 야후만의 콘텐츠가 충분한 가치를 갖지 못했으며 화제성이나 영향력 면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블로거와 크리에이터로 대변되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힘을 정작 야후가 인정하지 못하고 프로페셔녈 콘텐츠에 몰입하는 바람에 마지막 기회까지 놓쳐버린 것이다. 선택과 집중의 방향도 잘못되었는데 매년 큰 흑자를 내고 있던 야후!코리아를 단숨에 접어 버리는 큰 실수는 두고두고 회자될만한 잘못된 판단이었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가 2008년 야후 인수전에 뛰어들었을 때가 마지막 기회였다고 여겨졌지만 야후가 거절하면서 투자자들은 큰 실망을 하고 만다. 아이러니하게도 야후!재팬과 알리바바의 지분을 갖고 있다는 점이 어필되지 않았다면 야후는 일찌감치 포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했을지도 모른다.
인터넷 스타트업의 할아버지 뻘인 야후에게서 스타트업이 배워야 할 것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은 아마도 다음과 같을 것이다.
- 좋은 투자자는 초기 생존에 엄청나게 중요하다.
- 적절한 매출 시기를 조절하고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 초기에는 잘 하는 것에 매진해야 한다.
- 스타트업의 인수합병은 흡수가 아닌 더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방식이어야 한다.
- 넓게 펼치는 사업 기회 탐색보다 좀더 깊이 있는 분야에서의 집중도를 높여야 한다.
- 갖고 있는 것을 버리고 새로운 차원으로 전면적으로 변신해야 할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
- 처음 시도했다는 것에 매달리지 말고 가장 잘 할 수 있는 사업을 찾아내야 한다.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