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내 영어 공용화, 가능할까?

나를 포함해 글로벌 회사에 다니는 많은 사람들이, 영어 때문에 고생을 많이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보다 훨씬 영어를 못한다는 선입견을 갖고 있는 일본의 회사가 영어 공용화를 도입,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기사를 최근에 보고, 우리나라 기업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며 특히 글로벌 진출을 꿈꾸는 기업이라면 적극 도입을 고려하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생각을 공유하고자 한다.

Screen Shot 2016-07-27 at 10.41.53

1. 라쿠텐의 영어 공용화 성과

이 기사에서 보면, 일본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 라쿠텐은 CEO의 강력한 의지로 5년 전 기업 내 공식 사업 언어를 영어로 바꾸었다. 일본인들의 평균 영어 실력은 한국보다도 낮은 수준이었기에 강한 사내 반발에 부딪혔고 도입 초반에는 회의 시간이 도입 전의 4배로 늘어나는 등 부작용도 심각했으나, 결과적으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이 기사에서 언급한, 영어 공용화의 성과는 아래와 같다.

– 영어를 공식 사업 언어로 하는 것은 일본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일본 직장인들의 시야를 세계로 넓힐 기회를 제공했다.

– 영어에는 지위에 따라 단어나 표현이 바뀌는 경우가 거의 없고 높임말이 일본어처럼 복잡하지 않다. 따라서 영어를 사용하면 일본어로 대화를 나눌 때의 위계 장벽을 허물어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영어가 두려워서 회사를 떠나야겠다고 생각했던 한 매니저는 필리핀에서 집중 영어 수업을 이수했고, 그의 영어 실력은 빠르게 늘었고 회사 내에서의 지위도 덩달아 빠르게 올라갔다. 더 중요한 것은 그가 영어를 통해서 사업에 관한 국제적 시야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 영어를 공식 사업 언어로 사용하면서 일본인이 아닌 직원을 더 많이 고용하게 되어, 2011년 이후 라쿠텐이 새로 고용한 엔지니어의 80%가 외국인이다. 그리고 전형적인 일본 회사에 넘쳐나는 단조로운 남색 양복 대신 좀 더 격식 없는 문화가 사무실에도 퍼져, 아무런 활기가 없는 일본의 기업 문화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있다.

실제로 일본 내 최대 온라인 쇼핑몰이었던 라쿠텐은 최근 몇 년간 바이버, 비키 등 다양한 해외 스타트업들을 인수하며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 및 업종 확장을 하고 있다. 그래서 매출 변화는 어떤지 찾아보니, 2012년부터 그룹 전체의 매출도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Screen Shot 2016-07-27 at 10.25.58

물론 내가 라쿠텐에서 직접 일을 해 본 건 아니기에 기사와 매출 데이터만으로 영어 공용화의 성과를 평가하기엔 한계가 있으나, 일본 내수 기업이었던 라쿠텐이 글로벌 기업으로 변신하는데 영어 공용화가 큰 기여를 했음은 분명해 보인다.

2. 실리콘밸리를 장악한 인도인들

구글, MS, 어도비의 공통점은,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IT기업이지만 CEO가 인도인이라는 점이다. 이들 외에도 실리콘밸리와 글로벌 비즈니스 무대에서 활약하는 인도인들은 엄청나게 많다. (참고:인도인들은 어떻게 실리콘밸리를 장악했나) 더욱 놀라운 것은 이들이 미국에서 나고 자란 미국계 인도인이 아니라, 대부분 성인이 되어 미국으로 건너간 순수 인도인이라는 점이다.

이들의 성공 비결로는 여러 가지를 꼽을 수 있지만 그 중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은 인도인들이 영어에 능통하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전세계 직원들이 모여서 회의를 하면 인도인들은 한국이나 일본인들에 비해서 1인당 발언 수나 발언 시간이 압도적으로 길다. 그리고

자신있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회사에서 인정받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동일하다.

3. 한국 기업들이 영어 공용화에 성공하려면

사실 한국 기업들이 영어 공용화 정책을 시도하지 않았던 건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사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업무 비효율성 등의 이유로 중단되었다. 그래서 과거의 실패 이유를 토대로 영어 공용화를 다시 시도한다면 어떻게 해야할지 제안해본다.

1) 영어 도입을 먼저 해야 할 사업/부서 선정

모든 회사의 모든 부서가 영어 공용화를 당장 시도할 필요는 없다. 우선 해외 영업/마케팅/사업 제휴 등의 부서부터 영어 공용화를 시작하면 어떨까? 요즘은 킥스타터 등의 플랫폼을 통해 바로 글로벌 진출이 가능한 시대이기에, 작은 스타트업이더라도 영어 공용화를 시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중요한건, 사내 시스템과 공지문 등도 모두 영어로 바꿔가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 회사의 글로벌 진출에 기여할 수 있는 외국인 인력들이 합류했을 때 문제없이 정착할 수 있다.

2) 이중 보고서 작성 금지

국내 대기업들의 경우 해외 영업/마케팅 등을 통해 영어 실력이 뛰어난 임원분들도 많았고 외국인 임원들도 많이 채용을 했었지만, 대다수 임원들은 여전히 영어 실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갑자기 공용화를 추진했던 것같다. 그러다보니 이들은 공식용 영어 보고서와 본인들이 참고하기 위한 국문 보고서를 모두 실무자들에게 요구하는 경우가 잦았고, 실무자들의 부담은 2배가 되었다. 이러한 이슈를 방지하려면, 임원 참고용 국문 보고서를 완전히 금지시킬 필요가 있다.

3) 직원들의 영어 교육 지원

해외 유학이나 근무 기회가 없었던 토종 한국인들에게 뛰어난 비즈니스 영어 구사를 바라는 건 무리가 있다. 그렇다면 그들이 영어로 업무를 잘 처리할 수 있도록, 최소 2~3개월간의 외국어 집중 교육 등을 회사에서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그게 어렵다면, 퇴근 후나 주말에라도 영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시간 배려를 해줘야 한다. 그리고 업무 능력은 형편없지만 ‘영어만 잘하는’ 직원들이 사내에서 득세하지 못하도록, CEO와 임원들이 견제해야 한다.

글/진민규

원본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