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인 리처드 핸드릭스는 자신이 개발한 음악 도구 알고리즘이 어느 날 혁신적인 코드로 이뤄진 압축 알고리즘이라고 인정받으면서 직접 스타트업을 차리게 된다. 이곳에 모인 멤버와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또 여러 기업과 벌어지는 해프닝을 좌충우돌 코미디 형태로 다루는 스타트업 성장 드라마가 바로 HBO의 실리콘밸리다. 실리콘밸리는 이미 시즌3까지 방영된 상태이며 4월부터 시즌4를 시작했다.
실리콘밸리는 미국에서도 스타트업을 다루는 이색 IT 드라마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극중에 나오는 실리콘밸리의 모습은 실제 업계에서 근무 중인 사람도 납득할 만한 완성도일까.
먼저 세세한 부분까지 리얼리티를 추구하고 있다. 현지에서 알 수 있는 자세한 정보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는 사람이 실리콘밸리 드라마를 본다면 코미디보다는 드라마에 가깝다고 말할 정도라고 한다.
다음은 실제 IT 기업인 구글을 방불케 하는 세트. 극중에 등장하는 IT 기업 사무실은 구글 같은 직장과 비슷하게 만든 가상 기업인 훌리(Hooli) 사무실이다. 구글 사무실을 모티브로 삼아 만든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훌리 사무실에는 터무니없이 고급스러운 주방도 나온다. 이는 실제 실리콘밸리에서 절정기에 있는 스타트업의 모습을 그렸다고 할 수 있다. 인기에 들뜬 스타트업을 모사한 것이다.
극중에 등장하는 사무실 포스터에는 ‘Break Fast and Eat Things’라는 말이 나온다. 이는 페이스북이 실제 사용하는 “생각하기보다는 빨리 행동하라(Move Fast and Break Things)”의 패러디라고 할 수 있다.
시즌1에서 훌리와 적대 관계에 있는 실리콘밸리의 거대 기업인 라비가(Raviga)가 파티를 열고 손님으로 플로 라이다(Flo Rida)가 등장한다. IT 업계 파티에 래퍼가 등장하는 건 부자연스럽게 보일 수도 있지만 이 연출은 100% 진실이라고 한다. 실제로 세일즈포스닷컴의 파티에는 게스트로 MC해머가 등장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 주인공 리처드 핸드릭스는 훌리에서 일하면서 개인적으로 음악 파일을 압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다. 그는 음악 도구 용도만 상정했지만 이 압축 알고리즘이 세계에서 유례없이 혁명적인 것으로 판명되면서 스타트업을 차리게 된다. 이런 전환의 흐름 자체는 실리콘밸리의 일상을 잘 묘사하고 있다는 평이다.
실제 채팅앱인 슬랙(Slack)은 평가액이 38억 달러에 달한다. 하지만 원래 글리치(Glitch)라는 MMORPG 도구로 개발된 것이었다고 한다. 물론 이제 슬랙은 비즈니스를 위한 채팅앱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다음은 극중에 등장하는 투자자는 집 거주 공간과 개발 공간을 젊은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인큐베이터를 운영한다. 주인공은 이런 인큐베이터의 도움을 받아 직접 스타트업을 시작한다. 이런 인큐베이터 구조는 실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드롭박스는 와이콤비네이터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시작됐다. 물론 실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은 극중처럼 주거나 개발 공간만 제공하는 게 아니라 멘토 지도를 포함한 능동적인 프로그램이 더 많다.
또 극중에선 개발팀이 플랫폼 개발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아이디어로 실재하는 개발 방법론인 스크럼 메소드(Scrum)를 도입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 개발팀이 짧은 시간에 집중해 미팅을 할 수 있게 모두 서서 각자 보고를 하는 스탠드업 미팅도 한다.
다음은 시즌3에서 주인공은 자신이 차린 스타트업 기업에서 리더십 부족이라는 이유로 경영진 다수결로 CEO 자리에서 쫓겨나게 된다. 자신이 차린 회사에서 쫓겨난 사건은 실제 실리콘밸리에서도 일어난다. 가장 유명한 사건은 애플에서 쫓겨난 스티브 잡스다.
또 극중에선 직원으로 일하는 사람 중 취업 비자를 받은 캐나다 시민권자가 나온다. 외국인 취업 비자로 고용한다는 건 실제 실리콘밸리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수많은 IT 기업이 기술력을 갖춘 외국인의 취업 비자를 후원하고 있다.
훌리에는 브로그래머(brogrammer)로 불리는 개발자가 일하고 있다. 이는 우버 등 실제 실리콘밸리 기업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브로그래머는 세련되고 부유하면서 유행에 민감한 컴퓨터 프로그래머를 뜻한다. 실리콘밸리에선 프로그래머가 과거와 달리 유행에도 민감해지는 한편 이곳 문화 자체가 티셔츠와 후드를 비즈니스 캐주얼로 통용된다는 것도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고 할 수 있다.
시즌3에선 스타트업 직원이 개인적으로 개발 중이던 비디오 앱이 압축 알고리즘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사업 방향이 전환되는 모습을 그렸다. 실제로 안드로이드는 당초 디지털 카메라 소프트웨어로 시작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중에 모바일 운영체제로 방향을 전환했고 결국 구글에 인수된다. 시즌4에선 안드로이드와 같은 역사적 전환(?)이 이뤄질까.
실리콘밸리는 이렇게 실제 실리콘밸리의 다양한 상황을 코미디 터치로 그리고 있지만 여성 배역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이사회에는 벤처캐피탈 여성 투자자와 직원이 취임하지만 실제로 실리콘밸리에서 여성 투자자 비율은 7% 정도에 불과하다. 실리콘밸리의 노동 인구 중 대다수는 아직도 남성이라고 한다. 관련 내용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