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성장의 핵심 키워드는 ‘동맹’

오백볼트 김충범 대표는 GSC 2017에서 세계 최초의 글로벌 스타트업인 ‘곤고구미(kongo gumi)’ 이야기로 키노트를 시작했다. 곤고구미는 1428년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의 건축 기술자들이 세운 세계 최초의 글로벌 스타트업이다. 창업 후 578년간 운영하다 지난 2005년 일본의 다카마쓰 건설사에 합병 됐으니 기업 수명으로도 최장수 회사다.

시간이 흘러 6세기가 훌쩍 지난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혁명을 거쳐가며 기업을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2009년 기준으로 기업은 세계 인구의 81%에게 일자리를 제공 중이다. 경제력 역시 전세계 시장의 90%를 좌지우지하고, GDP의 94%가 기업을 통해 창출되는 세상이다.

국가, 도시, 기업을 막론하고 경제 주체의 100개 중 과반수인 51개가 오롯이 기업의 몫이다. 지금까지의 모든 수치는 지난 2009년 기준이다. 이미 그 시기부터 국가에서 기업의 시대로의 진입했다는 것.

기업이 웬만한 국가보다 큰 경제규모를 지니고 있다는 증거는 여러곳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의 월마트의 경우 세계 161개국 재정수입보다 크다.  삼성전자의 매출은 GDP 57위로 베트남보다 크다.

김 대표는 “잘 키운 기업하나 열 국가 안 부럽다.”고 말한다. 즉 스타트업을 잘 육성해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것은 국가를 키우는 것과 마찬가지란 얘기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 100대 경제주체에서 15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바로 위를 차지하는 14위가 미국의 도시 중 하나인 뉴욕이다. 12위는 일본 도쿄, 20위가 미국 LA다.

포브스에서 발표한 ‘2015 글로벌 2000 세계 최고 회사’ 중 중국은 232개,  일본 218개, 영국 94개, 한국 66개, 미국은 무려 579개 기업이 세계 2000위 안에 포진해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수치는 우리 앞 세대가 만든 성적표다.

“지금보다 좀더 좋은 성적으로 올리는 건 우리 세대의 몫이다”

국내의 경우 5년 안에 창업 기업 중 75% 이상이 폐업이라는 고난을 겪게 된다. 1년도 채 못 버티고 문을 닫는 곳 역시 17.3%나 된다. 1%에도 못 미치는 낮은 엑시트(EXIT) 비율 역시 국내가 창업가에게 지옥이라는 사실을 뒷받침 한다. 참고로 미국은 61.4%, 이스라엘 60%가 엑시트를 한다. 반면에 한국 0.4%에 그친다.

한국의 스타트업은 10년 이상 소요되는 긴 호흡의 자금회수 기간을 지니고 있다. 미국 6.8년, 유럽 6.3년, 중국 3.9년 정도면 자금회수가 끝난다. 한국은 무려 평균 14.2년의 시간이 지나야 자금회수의 기회가 생긴다.

물론 기업은 규모의 경제인 만큼 시장 규모에 따라 국가별로 큰 차이가 발생하는 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말한다. 미국은 2015년 한해에 약 76조원에 달하는 금액을 투자하고 중국은 2016년 기준 하루에 15,000개의 기업이 창업했다. 한국은 2016년 기준 신설법인 9만개, 벤처투자 금액 규모는 2조원 수준이다.

김 대표는 성적표의 등수를 올릴 수 있는 핵심 요소로 3가지를 꼽았다. 먼저 시장규모, 즉 마켓 사이즈다. “창업자가 가장먼저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한국, 중국, 미국에서 동시에 비즈니스를 시작했다면 성공확률은 당연히 미국>중국>한국 순이다.

그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마켓 효율성. 시장 피드백은 빠르고 효과적일 수록 좋다. 일정 수준의 경제 규모를 갖추지 않고는 실현 불가능한 조건이다.

마지막 3번째 요소는 상당히 의외였다. “여건이 된다면 한국에서 창업은 하지 말라고 말한다.” 앞서 설명한 1, 2번의 요소를 수렴하는 데 국내 시장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다음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해외진출이다. 글로벌 스타트업의 성공 조건으로 김 대표는 ‘압도적인 기술/BM의 우위, 글로벌 인적 역량, 기업의 성장 단계’를 기본 요소로 꼽았다.

기존에 스타트업이 전통적으로 해 오던 방법인 파트너십(MOU), 조인트벤처 등 현시점에 맞지 않는다. 새로운 성장 방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당위성이나 명분을 배제하고 오직 전략에 대한 부분만 고민해 보자”는 게 김 대표의 제안이다. 이 방법이야 말로 마켓 사이즈 확장과 마켓 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김 대표가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안한 건 ‘파격’에 가깝다. 먼저 동맹(Alliance). 한 마디로 국내에서 동일한 비즈니스 하는 팀끼리 연계해 덩치를 키우란 얘기다. 두 번째는 해외 상장(Global IPO). 국내보다 외국에서 상장하기가 훨씬 수월 한데다 현지 상장 유치팀(베트남, 일본, 싱가포르, 호주…) 역시 해외팀에 우호적이라고. 마지막으로 국경 없는 동명(Cross-Border Alliance)이다. 해외 업체와 ‘피를 섞는’ 이른바 지분을 교환을 통해 보다 쉽고 빠른 현지 시장 진입을 꿰하란 것. ‘give and take’는 국경을 막론하고 통하는 비즈니스의 기본 원칙이니까.

우리에게 필요 한 건 명분도 비판적 시선도 아닌 “두둑한 배짱을 가진 기업가 정신과 새로운 전략이다.” 새로운 전략이 없는 새로운 개척지는 “더 빠른 무덤을 파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는 조언으로 마무리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