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가를 꿈꾸는, 아직 대학을 졸업하기 전인 후배와 이야기하다가 이런 질문을 들었다.
사업을 분명히 하고 싶지만, 한국에서 중소기업 사장 만나보면 제가 닮고 싶은 모델은 아니던데요. 그런 사람이 되어야 사장이 되나요? 아니면 사장이 되면 그런 사람이 되는건가요?
이게 무슨 말일까? 소위 말하는 전형적인 한국의 중소기업 (많은 경우 대기업의 납품/하청 업체인…) 모습을 생각하니 무슨 말인지 알 것 같았다. 씁쓸했다. 한때 나도 그런 생각을 가진 적이 있기 때문에 무슨 말인지 충분히 이해가 되었다.
그러던 얼마전, 안랩 커뮤니케이션 블로그에서 “안철수가 신입사원과 나눈 대화 10문 10답“을 읽다가 눈이 멈춘 구절이 있다.나 같은 경우 의대 다닐 때 다른 건 몰라도 사장은 안 맞는 직업이겠다 했다. 사장은 카리스마 있고 외향적이고 사기성도 있어야 하는데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보니 스스로도 그렇고 부모 형제 친구 친척 등 100%가 사업가 기질이 아니라고 했다. 그런데 10년 해보고 알았다. 남들만큼은 할 수 있다는 걸. 자기가 자기에게 기회를 주는 게 중요한 게,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른다.
안철수 대표는 누구나 인정하는 뛰어난 리더이다. 황무지였던 한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소신있는 철학으로 안철수 연구소라는 건실한 회사를 만들고 키우고, 지켜낸 사람이다. 한 두사람도 아니고, 주변 사람 100%가 사업가 기질이 아니라고 한 사람인데 나중에 훌륭한 사업가가 되었고, 존경 받는 기업인이 되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카리스마 있고, 외향적이고, ‘사기성도 있는’ 사람이 사장이 되어야 하는 것일까? 가만히 생각해보면 나도 그런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한때 나는 사장이 될 재목이 못된다고 생각했다. 무릇 ‘사장’이라면 술도 잘 마시고, 다른 사람 비위도 잘 맞추고, 가진 게 없어도 있는 것처럼 큰 소리 뻥뻥 칠 줄도 알고, 가끔은 회사의 이익을 위해 부정직한 행위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주변의 소위 ‘사장’들을 보면 그런 모습을 가진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지금 돌이켜보면 그것이 얼마나 왜곡된 생각이었는지 깨닫게 된다. 난 절대 이것이 일반화되서는 안되고, 앞으로의 모습을 반영해줄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회사를 위해 가정을 버리는, 술 잘먹는 사장님’은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인해 파산한 경제 속에서 나라를 일으키고 경제 규모를 키우는 데 필요했던 모델이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올바른 리더의 모습일까? 앞으로도 그런 리더십이 필요할까? 7년만에 60조원의 기업가치를 지닌 회사,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저커버그가 그런 모습인가? 마크를 직접 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그는 오히려 정 반대의 모습을 가진 것 같다. Nerdy(공부만 해서 사회성이 좀 부족한 사람을 놀리는 속어)하고, 항상 뭔가에 몰두해있는, 후드티 입은 열정적인 젊은 청년이 떠오른다 (이전에 쓴 글,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그에게서 배우는 교훈‘ 참조)그럼 뭘까? 어떤 스타일을 가진 사람이 창업해서 성공하고, 어떤 성격을 가진 사람이 기업의 리더가 되어야 하는 것일까?
예전부터 리더십에 대해서 항상 궁금했었다. ‘리더의 조건’, ‘팀장 리더십’, ‘위대한 리더란’ 등등의 책을 보면 항상 사서 읽어보곤 했다. 나중이 되니 다 그 말이 그 말이라 더 이상 안 보게 되었지만, 여전히 내가 귀하게 여기는 책 두 권이 있다. 하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출간한 “무엇이 위대한 리더를 만드는가 (What Makes a Great Leader)“이고, 또 하나는 짐 콜린스의 “위대한 기업의 조건 (Good To Great)“이다.
“무엇이 리더를 만드는가”에서, 저자 다니엘 고울만(Daniel Goleman)은, 리더에게는 ‘감성 지능 (Emotional Intelligence)‘이 중요하다면서, 감성 지능의 예로 다음 다섯 가지를 들고 있다.
1. Self-Awareness: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잘 이해하고 있는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알고 있는가?
2. Self-Regulation: 자기 자신을 잘 통제할 수 있는가? 행동에 옮기기에 앞서 먼저 생각을 하는가?
3. Motivation: 단순히 돈이나 지위가 아닌, 그 이상을 추구할 동기가 있는가?
4. Empathy: 다른 사람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5. Social Skill: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상황을 파악해서 대처하는 능력이 있는가?
참 간결하게 잘 요약했다고 생각한다. 이 다섯 가지를 모두 갖추어야 리더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닐 지 몰라도, 적어도 우리가 생각하는 위대한 리더들은 모두 이 다섯 가지를 잘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꼭 리더가 아니더라도,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사랑을 받는 사람들은 이러한 다섯 가지 요소를 갖추고 있다.
리더십에 관한 대한 나의 상식을 가장 크게 흔들었던 책은 짐 콜린스의 “위대한 기업의 조건 (Good to Great)“이라는 책이다. 여기에 한 구절을 인용한다.
Compared to high-profile leaders with big personalities who make headlines and become celebrities, the good-to-great leaders seem to have come from Mars,” Collins writes. “Self-effacing, quiet, reserved, even shy – these leaders are a paradoxical blend of personal humility and professional will. They are more like Lincoln and Socrates than Patton or Caesar.” (Good to Great)
(신문 기사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유명 인사가 되는 고위층 인사들과는 달리, 우리가 관찰한 위대한 리더들은 꼭 화성에서 온 사람들 같다. 남의 시선 끄는 것을 싫어하고, 조용하고, 과묵하며, 심지어 수줍어하기까지 하다. 이것은 겸손함과 의지의 모순적 조합이다. 그들은 패튼 장군이나 줄리어스 시저같은 사람이라기보다는 링컨이나 소크라테스같은 사람이다.)
처음에 책에서 이 글을 읽었을 때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내가 가지고 있는 상식과 정말 달랐기 때문이다. 잭 웰치의 책을 읽으며, 미국 대기업의 CEO들은 모두 잭 웰치같은 사람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내 상식을 뒤엎는 이야기였다.
마찬가지로, 다음은 2010년 1월 28일자 월스트리트저널에 앨런 머레이(Alan Murray)가 쓴 글이다. (기사 원문)
Leaders come in all shapes, sizes and styles. But the question that has to be asked is: Is there a “right” way to lead an organization? (리더는 모든 형태와, 크기와,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궁금한 점은, “조직을 끄는 데 맞는 방식이 존재하는가?” 이다.)
If there is one strong conclusion that emerges from the best work on leadership, it is this: Great leaders exhibit a paradoxical mix of arrogance and humility. Leaders must be arrogant enough to believe they are worth following, but humble enough to know that others may have a better sense of the direction they should take. (가장 뛰어난 리더십에서 나오는 한 가지 결론이 있다면 이것이다: 위대한 리더는 모순되어 보이는 두 가지 특질 – 거만함과 겸손함 – 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리더는 다른 사람들이 추종하기에 충분할 만큼 거만해야 하며, 동시에 자기보다 다른 사람들이 더 훌륭한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알 만큼 겸손해야 한다.)
Former Exxon Mobil Corp. CEO Lee Raymond, for instance, was a shy, almost reclusive man when it came to personal matters. He excelled in math and science in high school, studied chemical engineering, and earned his Ph.D. from the University of Minnesota before joining Exxon. (전 엑손 모빌(Exxon Mobil: 미국의 거대 정유 회사)의 CEO 였던 리 레이몬드는 개인적인 면에서 봤을 때는 거의 은둔자에 가깝다. 고등학교 때 수학과 과학 능력이 뛰어났고, 화학 공항을 공부했으며, 엑손에 들어가기 전에 미네소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여기서 보듯, ‘리더의 모습은 이래야 한다’라고 단정짓는 것은 지나친 일반화의 위험이 있고,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물론 그런 소위 “전형적인” 리더는 분명히 있다. 바로 내가 지금 속한 조직, Oracle의 창업자이자 CEO인 래리 앨리슨도 거기에 속한다. 적어도 겉으로 보이는 그의 모습은, “강한 장수”다. 직원들을 위해 다른 회사를 기꺼이 깎아내리고, 어디서나 자신감에 가득 찬 모습을 보이는 그는 “거만한 CEO”이다. 게다가 유머 감각도 있어서 적들까지도 웃게 만드는 능력을 지녔다. 하지만 나는 이것이 전형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와 반대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다.
자포스(Zappos)를 아마존에 $1.2B(약 1.3조원)에 매각하여 일약 유명인이 된 토니 셰이(Tony Hsieh)가 쓴 ‘Delivering Happiness‘라 는 책을 최근에 읽었다. 어린 시절부터의 이야기를 자신의 말로 직접 쓴 글인데, 읽으면서 토니가 어떤 사람인지 느껴졌다. 남들 위에 군림하는, 적당히 사기도 칠 줄 아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글에서 느낀 그의 인상은 ‘커뮤니케이터’이고 ‘뜻을 이루고 싶어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생각을 사람들과 솔직하게 공유할 수 있는 용기, 그리고 돈이나 명예 이상의 것을 이루기 위해 돈과 명예를 기꺼이 포기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사람 말이다.게임빌의 송병준 사장도 그랬다. 대학교 4학년 때 처음 만난 그는 매우 겸손한 대학원생이었다. 처음 만났을 때 그는 말이 많지 않았고, 단정한 마이에 안경을 썼다. 창백해보이기까지 하는 하얗고 뽀얀 얼굴은, 내가 평소에 생각하던 그런 전형적인 사장의 모습은 아니었다. 그러나 7년 반 동안 같이 일하면서 그가 얼마나 뛰어난 리더인지 알게 되었다. 겸손하지만 내면이 강했고, 돈이나 지위 이상의 것을 추구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항상 이해하려고 애썼고, 이해할 줄 알았다. 한편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게 있으면 가차 없이 끊고 다시 시작할 용기를 가졌다. 그런 리더십이 연 매출 300억원, 시가 총액 2000억원에 이르는 회사를 만들어낸 것이다.
엔비디아(NVidia)의 사장 젠 시엔 황 (Zen Hsien Hwang)은 비져너리다. 그의 강의를 들어보면, 그는 다른 사람보다 앞서 미래를 볼 줄 알고, 이를 달성해야겠다는 목표 한 가지에 집중하는 사람임을 알 수 있다. 그의 개인적인 생활은 알 수 없지만, 난 그가 “카리스마 있고, 외향적이고, 사기성도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결국은 뭔가? 앞서 월스트리트 기자의 글을 인용했듯, 리더의 모습은 각양 각색이다. ‘내성적이어야 유리한가’, ‘외향적이어야 유리한가’의 기준도 적용할 수 없다. 결국, 자신이 가진 장점을 발휘하면 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위대한 회사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다음 두 가지는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 자기 확신 –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미래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고 싶은 마음.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욕구. 이것이 강해야 상황이 어려워지거나, 반대로 유혹의 상황이 왔을 때 (회사를 거액에 팔라고 하는 등의) 이를 물리치고 자신의 길을 추구할 수 있다.
2. 스토리텔링 – 상황을 설명하고, 방향을 설명하는 (강요나 설득이 아니라) 능력이다. 리더가 내성적이고 수줍어하는 것은 상관 없다. 그렇다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줄 모르면 안된다. 남들 앞에서 연설하는 것이 힘들면 글로라도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어야 하고, 잘 해야 한다. 이것이 안되면 오해가 생기고, 결국 관계가 틀어지면서 사람들이 떠나고 만다.
안철수가 젊었을 때 가졌던 그런 고정 관념때문에 사업을 망설이는 사람이 제발 없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강렬한 의지와 남들에게 자신의 뜻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누구나 뛰어난 사업가, 리더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글 : 조성문
출처 : http://sungmooncho.com/2011/01/23/lea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