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가 스마트팜 분야의 창의적 인재양성과 미래농업을 대비하기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를 구하기 위해 개최한 ‘2023 스마트팜 아이디어 경진대회’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2023 스마트팜 아이디어 경진대회’는 네이버클라우드와 ㈜유비엔이 주관, ㈜대호이엔지가 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지원하는 행사로 지난 10월 26일부터 스마트팜에 관심 있는 19세 이상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기술 융합 ▲ICT 융합 ▲스마트팜 서비스 ▲기타(부가가치 창출) 등 총 4가지 분야에 관한 아이디어를 공모 받았다.
그 중 사업목표, 사업수행, 기대효과에 대한 명확성, 합리성, 실용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해 대상(농진청 디지털농업추진단장상) 1팀, 최우수상(유비엔상) 1팀, 우수상(네이버클라우드상) 2팀, 장려상(네이버클라우드상) 3팀 등 총 4개 분야의 7개 상을 수여했다. 시상식은 지난 24일 네이버클라우드 역삼 사무실에서 진행됐으며, 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추진단 성제훈 단장이 방문하여 격려사 및 시상을 진행했다.
대상은 기술 취약 사용자층을 고려한 스마트팜 시스템 아이디어를 제안한 ‘산뜻한 마름’ 팀이 차지했다. 최우수상에는 스마트팜 센서와 공중습도기 개발을 제안한 ‘될농’ 팀이, 우수상에는 작물 성장 시뮬레이션을 통한 스마트팜 데이터베이스 확장을 제안한 ‘MECHANISM’ 팀과 회전식 수경재배 기계를 제안한 ‘도넛팜’ 팀이 선정됐다. 장려상에는 지속 가능한 로컬 스마트팜 시장 플랫폼을 제안한 ‘시마트 마트’ 팀, 인공지능이 탑재된 온실제어 음성 어시스턴트를 제안한 그린필드솔루션 팀, 고객 맞춤 매칭 알고리즘을 통한 유통 시장 확대 플랫폼 개발을 제안한 ‘인하 ROTC 아카데미 62’ 팀이 수상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주관하는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은 작물의 환경과 생육 단계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 가공하여 농업인 및 관련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데이터 분석,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정밀농업 실현을 위한 스마트팜 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돕는다. 회사는 경진대회에서 선정된 아이디어를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의 혁신 서비스 발굴 사업의 일환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클라우드 임태건 클라우드 비즈니스 총괄 상무는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창의적이면서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나볼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앞으로 중요한 미래산업 중 하나인 스마트팜을 발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Like this:
Like Loading...
Related

국내 스마트팜 사업의 선두 기업 그린플러스(대표 박영환)가 청년 농업인 육성에 나섰다. 그린플러스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 스마트팜’ 총 47억 원의 규모 신축 공급 계약 2건을 체결했다. 스마트팜 온실 신축 공사 기간은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7월 31일 까지다. 이번에 공급하는 청년 스마트팜은 재배작물 전용 첨단 온실이다. 토마토를 재배하는 전북 김제에는…

㈜긱프렌즈가 네이버클라우드(주)와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공급센터 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스마트 팜 비즈니스 솔루션을 본격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국내 블록체인 기업 아이콘루프(ICONLOOP, 대표 김종협)가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본 플랫폼 구축은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주관하고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iPET)이 총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2021년부터 7년간 추진되는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 전 과정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관리·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아이콘루프는 ㈜씨씨미디어서비스, ㈜호현FnC, ㈜유비엔, ㈜아트피큐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다. 농업 인구와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에너지·노동력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농업의 지속가능성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팜 솔루션을 개발하고 현장에 확대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1세대 스마트 팜 산업화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농축산업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농림축산식품부·농촌진흥청·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2027년까지 ‘스마트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에 매진할 계획인 가운데, 이번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은 성공적인 사업 수행의 핵심이 될 기반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 본 플랫폼 구축에서 아이콘루프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우선 세부 과제 중 ‘스마트팜 R&D 산출물 관리 및 공유 시스템 개발’ 부문에 아이콘루프의 블록체인 기반 증명서 서비스인 ‘브루프(broof)’ 기술을 적용, 블록체인을 통해 R&D 산출물 정보를 관리 및 공유함으로써 위변조를 방지하고 안전·편리하게 보관하도록 했다. ‘스마트팜 연구자 커뮤니티 지원 시스템 개발’ 부문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 불변의 디지털 저장소인 블록체인상에 연구 문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했다. 문서의 해시값과 조회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저장 시간과 문서 내용을 확정함으로써 위변조 없이 영구 보존이 가능한 방식이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각 주체의 ID를 발급하고, 문서 저장 시에 이 ID를 이용하여 저장자와 조회자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게 된다.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의 초석이 될 본 사업에 자사의 블록체인 기술력으로 함께할 수 있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향후에도 아이콘루프는 DID를 비롯한 블록체인 기술이 안전하고 편리한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힘껏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실명인증, 자격인증, 방문인증 등 다양한 신원인증을 제공하는 아이콘루프의 DID 신원인증 서비스 ‘쯩’은 신한은행, NH농협은행과 함께 금융권 실명인증에 DID를 적용한 데 이어 ‘블록체인 기반 강원도 만성질환 통합 관리 플랫폼’, 제주형 관광방역 시스템인 ‘제주안심코드’ 등으로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관련 기사 더 보기 https://www.venturesquare.net/829423
Like this:
Like Loading...
Related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