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웰니스 산업 성장세, 관련 스타트업 해외시장 공략”

팬데믹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 확대, 전통적 건강관리 재조명 등을 배경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세계 웰니스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보유한 운동‧헬스케어, 전통‧보완의학 등 주요 웰니스 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 윤진식)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6일 발표한 ‘글로벌 웰니스 산업 성장과 우리나라 수출 유망분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계 웰니스 산업 규모는 5.6조 달러로 2027년까지 연평균 8.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자료: Global Wellness Institute). 특히 소비 여력이 높고 고령자 비중이 커 세계 웰니스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북미‧유럽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 웰니스 산업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2년 기준 국내 웰니스 산업 규모는 약 1,130억 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이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4%의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웰니스 산업을 주도하는 분야는 전체 산업의 약 72%를 차지하는 ▲운동‧헬스케어, ▲전통‧보완의학, ▲영양식습관, ▲뷰티케어 등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이 가운데 운동‧헬스케어 및 전통‧보완의학의 수출 산업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국내 운동‧헬스케어 산업의 차별점은 디지털 기술 도입에 있다. 실제로 다수의 의료기기 기업 및 스타트업들이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건강관리 기기와 솔루션을 출시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서구권의 관심과 수요가 높아진 전통‧보완의학도 가능성이 돋보인다. 우리나라 한의약 산업은 현대적 치료‧연구인프라를 바탕으로 타 문화권의 전통 의학에 비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 임지훈 수석연구원은 “웰니스 산업의 세계 시장 규모와 성장세에 비해 우리 기업의 수출은 초기 단계”라면서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국내 웰니스 산업 활성화 정책 추진과 더불어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표준화, 관련 법률 마련, R&D 지원, 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제공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 기사 더 보기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