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DIY와 오픈소스 문화, 그리고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통한 새로운 사회발전의 에너지로 삼았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글을 통해서도 그렇고, 사람들을 만날 때에도 많이 피력하고는 했다. 얼마 전에도 페이스북에서 대중화된 ‘화학실험실’을 찾으시는 분의 글을 접하면서 만약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과학기술을 접할 수 있고, 교육하면서 동시에 서로 네트워킹을 한다면 얼마나 우리 사회가 많이 바뀔까를 상상해 보기도 했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아마도 인터넷과 ICT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가치관의 등장과 이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강화된 나의 생각과 경험이 영향을 미쳤을텐데, 이와 같이 사회의 전반적인 변화에 따른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게도 동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시간의 차이가 없이 느끼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다. 특히 젊은 친구들을 중심으로 이런 새로운 대중과학의 시대를 열고자 하는 시도가 점점 많이 눈에 띈다.
이 블로그에서도 몇 차례 이런 움직임을 소개한 바 있는데, 28세의 젊은 생명과학자인 조세프 잭슨(Joseph Jackson)의 경우 ‘DIY 생명과학자’라는 운동을 이끌면서, 샌프란시스코 지역에 BioCurious라는 회사를 공동창업하고 지역사회에서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명과학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Open Science Summit을 조직해서 이런 철학을 널리 퍼뜨리기도 한다. 아일랜드의 캐덜 가베이(Cathal Garvey)라는 청년은 집에서 세균을 배양하고, DNA를 조작하는 등의 실험을 한다. 그는 2년 전까지만 해도 커다란 암센터에서 연구를 하던 박사과정 학생이었다. 그러다가 여러 사정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일을 하기 시작했는데, 연구에 미련이 남아서 약 4천 달러의 경비를 들여서 부모님 집에 한 방을 빌려서 조그만 연구실을 만든 것이다. 이런 일이 가능해진 것은 생명과학 분야에서도 DIY 운동이 나타나면서 그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십시일반 아이디어를 내고, 이들이 커뮤니티를 만들고 다양한 방법들을 알아냈기 때문이다. 이들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연관글을 통해 참고하기 바란다.
연관글:
2012/08/03 – 집에서 바이오테크 회사 창업하기
2012/07/19 – 개방형 과학이 미래과학의 희망이다.
최근 GeekWire에는 16세의 시애틀 소녀가 이런 목적의 지역사회 생명과학 연구실을 설립하려는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가 성공한 사례의 기사가 실렸다. 기본적으로 Katriona Guthrie-Honea 라는 이름을 가진 이 소녀는 (이름이 읽기가 복잡해서 캐트리오나라고 하겠다) 15세 때 독학으로 유전자 바이오센서의 분자모델을 만들었을 정도로 천재적인 과학자의 소질을 타고났다. 그래서, 2012년 NWABR 바이오테크 엑스포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한 인재다. 단순히 상을 수상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기에, 그녀는 자신이 이룬 연구성과를 진척시키기 시키기 위한 생명과학 연구실이 필요했다. 대학이나 연구소에 있었다면 모르겠지만, 아직 고등학생인 그녀에게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3개월 가까이 사용할 수 있는 생명과학 연구실을 찾아다녔지만 그녀가 이용할 수 있는 연구시설을 찾을 수 없었다. 공동연구자의 나이제한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었다. 그래도 워낙 뛰어난 인재였기 때문에 결국 유명한 암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는 프레드 허친슨 암연구센터(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에서 인턴십 자리를 받아서 계속 바이오센서 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녀는 자신의 연구보다 이와 같은 과학기술 인프라에 대한 문제점을 더욱 크게 생각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는 그녀에게 자신만 과학자의 길을 걷는 것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듯하다.
그녀는 아마도 자신처럼 과학연구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지만, 제대로 연구를 할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과학연구를 할 수 있는 일종의 독점된 자격을 가지지 못했더라도 과학연구를 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연구실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그녀가 생각해낸 것이 바로 시애틀 최초의 바이오테크 해커스페이스(biotech hackerspace)이다. 생명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그런 공간과 시설을 제공하겠다는 것인데, GeekWire와의 인터뷰에서 그녀가 한 말이 또한 걸작이다.
테크 붐이 20년 전에 있었음에도 바이오테크 분야는 여전히 혁신이 정체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바이오테크를 배운 사람들에 비해 실제로 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이 따르지 못한 것이 하나의 이유입니다. 만약 미국이 정말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혁신이나 기술에 대한 가능성을 두드릴 수 없는 곳이라면 아마도 뒤쳐지고 말겁니다.
이런 동기로 시작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가 시애틀 하이브바이오 지역사회 연구실(Seattle HiveBio Community Lab)이다. 이들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는 독특한 과학연구에 대하여 일반인들이 십시일반 크라우드 펀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마이크로라이자(Microryza)에서 진행이 되었는데, 큰 금액은 아니지만 펀딩에 성공을 하였다. 이 공간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생명과학 실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지역사회의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의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의 역할을 같이 수행할 전망이다. 이렇게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하다 보면 예상하지 못한 혁신과 발견/발명이 나타날 수도 있지 않을까?
우리들에게 어쩌면 과학자라는 사람들은 지나치게 전문성이 있고, 다가가기 어렵고, 괴짜스러운 인물들로 인식되어 있는지 모른다. 우울한 SF소설에 등장하는 미친 과학자들에 대한 모습이나 외로운 천재와 같은 느낌의 선입견이 우리 모두에게 내재한 과학적 사고와 과학에 대한 능력을 꽃피우지 못하게 가로막고 있다. 이제 의지를 가지고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십시일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과학의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그런 분위기와 인프라가 우리나라에도 뿌리내릴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자료:
This 16-year-old is spearheading Seattle’s first biotech hackerspace
Microryza: Seattle HiveBio Community Lab 크라우드 펀딩 페이지
글 : 정지훈
출처 : http://health20.kr/3075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