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인터넷은 실험적으로 활용이 되면서 주로 컴퓨터 과학이나 네트워크 기술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연구에 관심이 많았던 미국의 정부부처나 연구기관들이 인터넷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가지 연구지원을 하였는데,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에서 만든 MFENet이나 HEPNet, 나사에서 구성한 SPAN, 그리고 미국 국가과학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에서 연구자금을 출연해서 컴퓨터 과학자 커뮤니티를 위해 구축한 CSNET 등이 등장하였다. 특히 연구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던 것은 단연 이메일 서비스였다.
인터넷 이메일 서비스의 등장
전자메일(electronic mail)의 약자인 이메일의 개념은 굉장히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꿈꾸어왔던 기능이었다. 1970년대 초반의 일부 작가들은 팩스로 문서를 전송하는 것을 전자메일이라고 하기도 했는데, 이 용어자체는 정확하게 처음 사용된 시기를 알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우리들이 현재 이야기하는 이메일은 사실은 인터넷 이메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메시지의 헤더에 이메일 발송자의 주소와 받는 사람들의 주소 등의 정보가 담기고, 제목과 메시지가 전송된 시간 스탬프가 붙는다. 초기에는 7비트 128개 글자의 영문 아스키 코드만 지원했는데, 점차 다국어와 다양한 형식의 미디어를 붙일 수 있도록 확장이 되었다.
현대적인 의미의 인터넷 이메일도 역시 ARPANET과 함께 성장을 하였다. 1971년 레이 톰린슨(Ray Tomlinson)은 이메일은 개인에게 보내어지는 것이므로, ARPANET이 가지고 있는 기계의 주소와는 다른 구분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당시의 컴퓨터는 대부분 호스트의 역할을 하였으므로 컴퓨터 호스트의 주소와 받는 사람의 아이디를 분리하는 구분자로 ‘@’를 처음으로 사용해서 DEC-10 컴퓨터 사이의 메시지를 분리하였다. 그의 표현방식은 곧 ARPANET 전반에 널리 받아들여지면서 오늘날과 같은 이메일 주소의 형태가 나타났다. 1973년 ARPANET에서 동작시킬 수 있는 이메일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표준이 제시되었는데, 초기의 인터넷 이메일 프로토콜은 문서를 일종의 파일로 보고 이전에 먼저 언급한 파일전송프로토콜(FTP, File Transfer Protocol)을 확장한 수준이었는데, 이메일의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갖추도록 업그레이드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이 1982년 정의되면서 최근과 유사한 이메일 서비스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다양한 연구 네트워크의 등장
AT&T의 유닉스 운영체제가 널리 이용되면서 유닉스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UUCP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인 USENET과 이라 푸크스(Ira Fuchs)와 그레이돈 프리먼(Greydon Freeman)이 대학의 메인프레임 컴퓨터들을 연결하자는 모토로 시작한 BITNET이 초기 글로벌 네트워크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기본적으로 학자들의 학문적인 네트워크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에, 호환성을 해결한 광범위한 네트워크 보다는 각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네트워크가 쉽게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이었다. 또한, TCP/IP 이외에도 제록스의 XNS나 IBM의 SNA.8, DEC의 DECNet과 같은 대체 기술들도 많았기 때문에, 오늘날과 같은 전 세계를 연결하는 광범위한 인터넷의 꿈은 당시로서는 시기상조였던 듯하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한국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전길남 박사가 1981년 상공부에 ‘컴퓨터 연구 개발 국책 프로젝트’ 계획서가 제출되면서 인터넷의 역사가 시작되었는데, 이 프로젝트의 일부로 1982년 구축된 TCP/IP 네트워크의 이름은 SDN(Software Development Network, 소프트웨어 개발 네트워크. 이후 시스템 개발 네트워크로 명칭 변경)이었다. 이는 NSF의 지원으로 구축된 CSNET과 유사했던 개념이다.
미국 NSF와 DARPA, 글로벌 네트워크의 싹을 틔우다.
인터넷이 일반화된 글로벌 네트워크로의 꿈을 꾸기 시작한 것은 아이러니 같지만, 미국 국가과학재단(이하 NSF)의 의무조항에 의해서였다. 영국에는 1984년 JANET이라는 고등교육기관이나 커뮤니티를 엮는 네트워크가 있었고, 미국에는 이에 상응하는 NSFNET이 1985년 구축되었다. 미국 대학들은 예나 지금이나 NSF의 연구기금이 가장 중요한 과학기술연구의 자금줄인데, 이 때 중요한 단서조항이 생기게 된다. 단서조항을 만드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사람은 데니스 제닝스(Dennis Jennings)로 그는 아일랜드에서 1년 간 NSF와 NSFNET 프로그램을 위해 파견된 연구자였다. 그는 NSF의 의사결정권자들을 설득해서 TCP/IP를 NSFNET 프로그램의 의무적인 프로토콜로 선정하게 하였다. 이후 NEFNET 프로그램의 책임자가 된 스티브 울프(Steve Wolff)는 1986년 세계적인 대학과 연구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NSF의 연구자금을 휘두르는 것으로는 부족하다는 판단 하에 DARPA와의 접촉을 시작했다.
NSF는 DARPA의 인터넷 조직 인프라를 지원하면서 통합된 체계를 갖추기를 원했고, DARPA와 NSF의 인터넷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확보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TCP/IP를 NSFNET 프로그램에 선택한 것을 포함해서 미국의 여러 연방기구들을 설득하여 오늘날의 인터넷의 체계를 갖출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결정을 내렸다. 이들은 태평양이나 대서양을 건너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공통 인프라 건설을 위한 비용을 서로 분담하기로 합의하였고, 트래픽 관리 등을 포함하여 오늘날의 인터넷 아키텍처와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모델을 구상하였다. 이런 복잡한 체계를 조율하기 위해서 미국 연방네트워킹위원회(FNC, Federal Networking Council)를 설립하였다. FNC는 이후 전 세계를 연결하기 위한 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오늘날의 인터넷은 단지 기술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퍼뜨리고 연계시키기 위한 고도의 정치적인 활동들을 통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만약 그 중간에 기업의 강력한 상업적인 의도나 특정 국가의 정치적인 판단에 의해 이런 수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좌절되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인터넷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다음 회에 계속 …)
참고자료 : Email 위키피디아 홈페이지, 한국 인터넷 역사 프로젝트 홈페이지
글 : 하이컨셉
출처 : http://goo.gl/VBpLhe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