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DNA ‘창조성’ 키우기

‘타고난 크리에이터’는 없다. ‘근면한 학습자’만 있을 뿐!

‘크리에이티브(Creative)’라는 단어에 열광하던 시절이 있었다. 필자가 90년대 초 광고회사에 입사했을 때인데, 천재적 크리에이티브로 소문난 고참 직원들을 볼 때마다 가슴이 설레곤 했었다. 필자는 경외심 반, 질투심 반으로 그들의 천재성을 느끼고 싶었고, 가능하다면 그들을 닮고 싶었다. 그래서 시간 날 때마다 그들의 주변에서 어슬렁거리며 그들을 관찰하고, 그들이 주선하는 회의나 프레젠테이션에 참여하는 등, 그들의 크리에이티브 근원을 밝혀내고자 노력했다.

아쉽게도 그때 필자는 그들의 천재성을 실감하지는 못했다. 대신에 그들은 누구보다도 ‘훌륭한 커뮤니케이터’ 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들은 자신의 생각에 대해 논리 정연하고 명확하게 커뮤니케이션을 잘하고, 사람들 앞에서 설득적인 프레젠테이션을 멋있게 수행했다. 또한, 그들 모두는 거의 일 중독이라고 할 정도로 매우 ‘부지런한 노력가’ 였다. 항상 새로운 자료들을 준비하여 근거로 제시하곤 하던 기억이 난다.

창조성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창조성은 그저 여러 가지를 연결하는 일입니다.

창조적인 사람에게 어떻게 했느냐고 물으면,

실제 자기가 한 일이 별로 없어서 죄책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저 무언가를 발견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당연해 보였을 뿐입니다.

창조적인 사람은 자신의 경험을 연관 지어

새로운 무언가를 합성해 냅니다.

-스티브 잡스-

창조성에 관한 5가지 오해와 진실

먼저, 필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창조성에 대한 신화는 모두 잘못된 믿음임을 주장하는 데이비드 버커스(David Burkus)의 저서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는 방대한 조사를 근거로 한 “창조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Thy Myths of Creativity: The Truth About How Innovative Companies and People Generate Great Ideas, 2013)”에서 10가지의 잘못된 믿음들이 사람들의 창조성을 방해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 중 5가지를 선별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해 1: 유레카 신화

뉴턴이 사과나무 밑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우연히 만유인력 법칙을 발견했다는 유레카식 믿음은 잘못된 것이다. 위대한 아이디어는 갑자기 아무런 근거 없이 어디선가에서 그냥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위대한 아이디어는 많은 생각과 고민 그리고 잠재 의식상의 배양 기간을 통해서 도출되는 것이다.

오해 2: 혈통 신화

창조성은 선천적으로 타고난다고 믿는 사람이 많다. 혈통이 다르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믿음은 잘못된 것이다. 현재까지 많은 과학적 연구들이 이러한 믿음을 지지하지 않는다. 어느 누구나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위한 좋은 기법을 배우면 창조적이 될 수 있다. 창조성은 후천적으로 개발된다.

오해 3: 독창성 신화

위대한 아이디어들은 독창적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위대한 아이디어들은 다른 아이디어들을 출발점으로 해서 개발된 것들이다. 심지어 문학의 셰익스피어도, 미술의 반 고흐도, 영화의 조지 루카스도 같은 시대의 사람들과 작품들을 발판으로 자신들의 창작물들을 발전시켰다.

오해4: 외로운 크리에이터 신화

세상의 유명한 발명에 대한 이야기 중 어떤 것은 진정한 혁신의 원동력인 팀워크가 아닌 한 사람만을 부각시키는 스토리를 꾸며낸다. 예를 들어, 백열 전구 발명은 에디슨 혼자가 한 것이 아니라 엔지니어, 기계공, 물리학자 등 동료들이 함께 이루어낸 것이다. 백열 전구뿐 아니라 전신, 축음기 등 에디슨이 혼자 한 것으로 알려진 것 들 모두가 그의 동료들로부터 시작되었거나 동료들과 함께 이루어 낸 것이다. 단지, 에디슨이 전면에서 고객, 언론과 투자자들을 상대했을 뿐이다.

오해5: 구속 신화

구속은 창조성을 방해한다는 일반적 통념이 있다. ‘상자 밖에서 생각하라’는 표현도 있지만, 현실에서는 정반대가 진실이다. 대부분의 창조적인 사람들은 백지상태가 얼마나 숨 막힐 듯 답답할 수 있는지를 잘 이해하고 있다. 모든 크리에이티브는 일정한 구속이 필요하다. 많은 창조적 시도 일본의 전통적 짧은 시의 형태인 하이쿠(Haiku)와 영국풍 14행시인 소넷(Sonnet)같은 고정된 형식에서 나온다.

결국, 버커스(Burkus)의 핵심 논점은 창조성이란 지속적인 학습의 결과물이고, 창조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과정과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이 생긴다.

우리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보고 배워야 하나?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가 발견한 ‘혁신가 DNA’

우리는 창조성이 뛰어난 사람들을 보고 배움으로써 창조성을 계발할 수 있다. 그들의 남다른 창조적인 생활과 습관을 따른다면, 창조성을 크게 키울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가 연구 발표한 “혁신가, 그들의 DNA가 궁금하다(2009년 12월 15일)”는 창조성 개발을 위한 중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창조성이 뛰어난 사람들이 일반인과 무엇이 다른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6년간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는데, 연구자들은 탁월한 창조성이 있는 애플의 스티브 잡스와 아마존의 CEO인 제프 베조스를 비롯한 25명의 혁신적인 기업가들의 습관을 분석했다. 또한, 혁신적인 기업을 창업했거나 새로운 제품을 발명한 경험이 있는 3000 명 이상의 기업 중역 및 500 여명의 개인을 대상으로도 조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가장 창조적인 사람들에게 5개의 ‘발견 기술(Discovery Skills)’이 나타났다. 이 기술은 ‘관련짓기(Associating)’, ‘질문하기(Questioning)’, ‘관찰하기(Observing)’, ‘실험하기(Experimenting)’, ‘교류하기(Networking)’다. 필자들은 혁신적인 기업가들이 혁신 성과를 낸 적 없는 사람들보다 ‘발견 활동’에 50% 이상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결국, 이러한 발견을 위한 활동과 습관이 ‘혁신가 DNA’ 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노력한다면 ‘혁신가 DNA’ 는 누구나 얼마든지 키워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발견 기술’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과 노력을 통해 발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타트업 성공을 위한 창조성 학습 과정

이제 필자는 스타트업 성공을 위한 창조성 학습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은 기존의 ‘인테러뱅 사이클’ 모델에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혁신가 DNA’ 를 결합한 것이다.

1단계: 관찰하기/질문하기

첫 번째 단계는 새로운 기회 발견을 위한 관찰과 질문의 시간이다. 스스로 직접 보고 귀로 듣고 느끼고 탐구하며 올바른 질문을 통해 현 상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장 기회를 추구하는 것이다.

심리학자이자 “지그 재그: 위대한 창조성으로 가는 놀라운 길(Zig Zag: The Surprising Path to Greater Creativity)”의 저자인 키스 소여(Keith Sawyer)는 “만일 당신이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다면 그것은 당신이 잘못된 질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한다. 올바른 질문만이 올바른 솔루션을 창출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는 스타벅스와 인스타그램 창업가들이 처음의 질문을 풀기 위한 노력을 고집했었다면 지금의 기업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미국에 이탈리아 식 에스프레소 바를 어떻게 재창조할 수 있을까?” 라고 질문하는 대신에 스타벅스 창업가인 하워드 슐츠(Howard Shultz)는 결국 이 질문이 잘못된 것을 깨닫고 “내가 어떻게 하면 위대한 커피를 즐기기 위한 쾌적하고 편안한 환경을 창조할 수 있나? 라는 보다 큰 질문을 다시 던진 것이다. 그리고 인스타그램의 창업가인 케빈 시스트롬(Kevin Systrom)은 “위대한 위치공유 앱(location-sharing app)을 어떻게 내가 창조할 수 있는가?” 라는 처음 질문에 심사 숙고하다가 “어떻게 우리가 간단한 사진 공유 앱(photo-sharing app)을 창조할 수 있는가?” 라는 보다 명확하고 차별된 질문으로 바꾼 결과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견할 수 있었다.

2단계: 관련짓기/교류하기

2단계는 1단계에서 발견한 시장기회에 대한 솔루션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창조를 위한 최고의 통찰력은 완전히 관계없어 보이는 것들을 연결하고 결합함으로써 생긴다. 영국의 신경 과학자인 폴 하워드 존스(Paul Howard Jones)는 최근 연구에서 사람들에게 단 3개의 단어만 주고 스토리를 만들라고 요청했다. 한 그룹에게는 ‘칫솔’ ‘이’ ‘빛나다’ 같은 관계된 단어들을, 다른 그룹에게는 전혀 관계없는 단어들인 ‘소’ ‘별’ ‘지퍼’ 를 제시한 결과, 관계없는 단어들을 제공 받은 사람들이 더욱 창조적인 스토리를 만들어 냈다는 것을 발견했다. 눈을 감고 아무 책이나 서로 다른 페이지에서 두 개의 단어를 무작위로 추출한 후에 결합을 해보는 훈련은 창조성을 키울 수 있다. 결국, 창조성이란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아이디어들 사이의 빈 칸을 메울 수 있을 때 일어나는 것이다. 그들간의 연관성을 밝혀내는 노력이 창조성을 키우는 것이다.

교류하기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다. 대부분의 창조적인 사람들은 각양각색의 많은 사람들과 훨씬 더 이야기하기를 좋아한다. 심리학자 키스 소여(Keith Sawyer)는 “당신이 다음 파티나 사교 행사에 참석하기 전에 색깔 하나를 정하고, 행사 시 그 색깔 옷을 입은 사람에게 접근해서 대화를 나누어 보라” 고 제안한다. 또한, 종종 자신을 다른 사람으로 상상하는 것을 시도하라고 한다. 예를 들면, 요리사, 외국 학생, 건물 준공 조사관 등. 그런 사람들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경험하는 것이다.

3단계: 실험하기

실험하기는 창출된 솔루션을 기반으로 무언가를 구체적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새롭게 창출된 아이디어를 빠른 시간 내에 간단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형상화하고 아주 간단한 샘플 버전을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만들면서 생각하는 방법이고 더욱 많은 아이디어를 이끌어 낸다.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그려보는 것은 실험하기의 기본이다. 그림 실력이 형편없더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최소한 뭔가를 끄적거리면서 생각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콜라주(Collage)는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실험방법이다. 각양각색의 신문 및 잡지에서 아이디어와 관련된 기사, 사진 및 광고물 등의 일부를 캔버스나 화판에 오려 붙이고, 빈 공간에 생각나는 것을 적으면서, 머리 속의 생각들을 떠올리고 표현하고, 아이디어를 조형하는 것이다. 완성된 콜라주는 수시로 보고 생각할 수 있는 책상 근처에 걸어 놓는 게 좋다. 볼 때마다 당신의 솔루션에 대한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언가 입체적으로 만들어 보는 것은 창조적인 사람들이 시간 날 때마다 가장 즐기는 취미 활동이다. 레고도 좋고 모형 제작용 점토도 좋다.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태나 형상을 만드는 습관을 키워야 한다.

관찰과 사색을 통한 올바른 질문을 던짐으로써 시장 기회를 포착하고, 관련 없는 아이디어들을 연결하고 타인들과 교류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실험하기를 통하여 아이디어를 구체화 한 무언가를 만들어 내고, 이렇게 탄생한 샘플 버전을 시장 테스트를 통하여 검증하고, 테스트 결과를 수정 및 발전시키는 이 다섯 단계를 반복 훈련함으로써 창조성은 계발될 수 있다.

스타트업 창업의 시작은 좋은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것이다.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는 창조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지금부터 창조성 키우기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된다. 누구나 지금 보다 훨씬 더 창조적이 될 수 있다. 올바른 과정대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면 되는 것이다. 창조성은 신이 준 선물이 아니다. 하늘에서 섬광이 번쩍 빛나며 위대한 아이디어를 떨어뜨려주기를 마냥 기다리지 말고, 자신을 가능한 다양한 영향력에 노출시키고 그것들 간의 연관성을 찾아내야 한다.

발명왕 에디슨도 사실은 다른 사람들이 창출해낸 아이디어들을 빌려와서 새로운 방법으로 다시 결합하는 것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그가 남긴 “천재란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만들어진다”는 명언처럼 그는 ‘타고난 크리에이터’가 아니라 ‘근면한 학습자’ 였던 것이다.

interrobang-400x214

 

글 : 한성철 (Vertical Platform)
출처 : http://goo.gl/8mIWSI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