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자인진흥원×벤처스퀘어 공동기획- 스타일테크 슈퍼루키, 인프라 연재] 지난해 펄핏이 내걸었던 다짐이 현실이 되고 있다. 펄핏은 발 길이뿐 아니라 너비와 높이를 비롯 그 모양을 측정한 다음 신발 내측 사이즈를 고려해 알맞은 사이즈 신발을 추천하는 서비스 . 앞서 이선용 펄핏 대표는 “2019년에는 발 모양 실측 기기인 펄핏R의 국내 오프라인 매장 커버리지를 늘리고 신발 내측 기기인 펄핏S도 개발을 마치겠다. 하반기에는 AI 기반 추천 서비스 출시와 함께 해외 시장 진출도 도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지난 4월 펄핏은 실제로 앞에서 언급한 2개 기기를 상용화한 데 이어 최근 신발 추천 AI엔진까지 베타 앱 버전으로 선보였다. 브룩스 코리아 플래그십 매장에서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 데 이어 현재 추가 5개 매장에서 펄핏R과 제품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측청·추천 데이터는 분석 리포트로 가공해 측정자 수와 성별, 발 사이즈뿐 아니라 보행 형태, 발등 높이, 추천 제품 리스트를 대시보드화했다.
이선용 대표는 “신발은 브랜드마다 사이즈 기준이 다르기에 디자인만 보고는 구매를 결정하기 어렵다”며 “펄핏은 이미지 프로세싱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 이러한 문제 해결에 나선 스타일테크 스타트업으로서 구매자 고민은 줄이고 유통, 제조사에는 반품 처리로 인한 비효율을 줄여주고자 한다”고 말한다. 본격 확보에 나선 실측 데이터는 해외 제품을 소싱하는 바이어에게도 유용하다는 설명이다. 해외 브랜드 제품의 경우 사이즈 유형이 발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세분화돼있지만 이를 막상 국내로 들여올 때는 ‘평균’으로 일괄 소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충분한 고객 데이터를 확보, 수요를 분석한다면 국내 수입할 때도 사이즈 유형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것. 이 대표는 “다양한 수요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매 플랫폼도 자체적으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며 그러나 “현재로서는 현재의 B2B 모델에 초점을 유지하고 AI 엔진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서비스 고도화 과정에서는 인재 확보가 필수였다. AI 알고리즘, 앱을 비롯 소프트웨어 분야 개발자뿐 아니라 실측기기를 만드는 곳인 만큼 하드웨어 생산관리 전문가도 구해야 했다. 디자인에 있어서도 고민이 많았다. “사용자들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간편하고 쉽지 않으면 이용을 꺼리기 마련이다. 때문에 원래 커다란 자판기 형태로 기획된 펄핏R은 박스 모양으로 크기를 줄였다가 지금은 그보다 더 작고 심플한 형태로 완성됐다.” 또 기기 이용에 있어 누군가 일일이 설명하는 대신 직관적이고 쉬운 가이드가 필요했기에 UI/UX 디자이너는 물론 3D 모델링과 영상 제작이 가능한 이가 필요했다고 말한다.
한편 또다른 목표로 내걸었던 해외 진출에 있어서는 지난 4월 첫 중국 진출을 꾀하며 한 현지 브랜드와 논의가 오가기도 했다. 시장이 워낙 크고 첫 시도였던 만큼 가시적 성과는 아직 없지만 이 대표는 그 경험을 교두보 삼아 올 하반기에 다시 도전할 생각이라고 말한다. “당시 논의를 통해 배운 점도 많다. 중국 시장 진출에는 현지인이 필요하다는 것과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다는 것, 비즈니스 논의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하반기에 AI 엔진을 고도화하고 나면 미국과 중국 시장에 도전하려 한다. 엔진은 언어 문제나 로컬 고객 성향에 따라 시장성이 좌우되진 않기 때문에 기술만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면 즉시 진출도 어렵지는 않다”는 것이 이 대표의 판단이다.
이와 함께 요즘 들어 펄핏이 주시하는 것은 나이키가 이번 7월 선보일 발 사이즈 측정 기반 제품 추천 시스템. 얼마 전 나이키는 자체 앱 이용자가 발 사진을 찍으면 해당하는 사이즈의 자사 제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발표했다. 이는 펄핏이 현재 마련한 서비스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출시 이후 반응을 지켜봐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렇다고 걱정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이전까지는 사이즈 측정 서비스가 왜 필요한지 설득하고 공감을 얻는 작업이 필요했다. 하지만 나이키의 이번 서비스 덕에 다른 신발 브랜드나 유통사가 알아서 그 필요성에 공감, 수요도 오를 거라 본다.” 만약 나이키 앱의 성능이 뛰어나다면 경쟁 상대로서 덩달아 역량을 키울 계기인 한편 그 반대라면 나이키도 오히려 펄핏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을까 기대한다는 뜻도 전했다. 그러면서 “오프라인 매장 내 하드웨어 기기 보급을 본격화하면서 모바일 앱은 잠시 개발 속도를 늦추려 했지만 업계 반응을 살펴 모바일 분야 전략을 다시 가속화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밖에 이선용 대표는 새로운 목표도 다시 마련하고 있다. 우선 그동안 사업을 진행하며 쌓은 제조·유통 네트워크를 활용해 콘퍼런스를 직접 개최하고 싶다는 것. 본보기로 삼은 것은 매년 7월 열리는 미국의 ‘컴플렉스콘’과 국내 행사 ‘스니커하우스’. 각 행사는 인기 스트리트패션 브랜드, 디자이너, 선수, 매니아를 모아 신제품이나 한정판 상품을 선보이고 관련한 다양한 이벤트를 운영한다. 이 대표는 “이러한 행사나 러닝크루가 모이는 허브에서 제품을 선보이면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유효한 피드백이 돌아왔다. 관여도가 높은 고객과의 접점을 높이고 엔진의 정확도를 테스트할 수 있는 자리가 필요하다”며 게다가 “펄핏은 제조·유통·디자인 기업 모두를 상대하는 복합 서비스기 때문에 콘퍼런스를 통해 플레이어들과의 이해와 소통을 키우고 싶다”고 밝혔다.
그밖에 펄핏의 장기적인 목표로는 신발 사이즈 기준의 통일을 꼽았다. “단어 3개로 주소를 표기하는 서비스를 내놓은 W3W처럼 펄핏도 신발 사이즈의 새로운 글로벌 표준이 되려 한다.” 발 길이 하나를 기준으로 삼을 뿐 아니라 그마저도 부정확하고 제조사마다 상이한 지금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싶다는 것. 그러면서 이 대표는 “신발을 살 때는 디자인만 보고 자유롭게 쇼핑하고 직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 AI엔진이 사이즈만 추천해주면 고객은 디자인도 원하는 대로 맞춤 제작하는 수준까지 개발을 이어가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 해당 기사는 한국디자인진흥원과 벤처스퀘어가 스타일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기획한 시리즈 인터뷰 입니다. 스타일테크는 패션, 뷰티에 AI, 빅데이터, AR/VR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합한 산업으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은 2019년부터 스타일 산업 신생태계 구축을 위해 대·중·소 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스타일테크 전용 공유오피스를 지원합니다.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