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덕목은 ‘지속성’ 그래야 잊히지 않거든요”

하나만 말하고 싶다. 중요한 건 지속성이다. 어떤 콘텐츠를 만들 건 지속적으로 업로드하는 게 채널을 키우기 위한 노하우다. 그래야 잊혀지지 않는다” 유튜브 채널 관리 노하우를 묻는 질문에 박요한 빅펀 대표가 이렇게 답했다. 박 대표는 2015년부터 유튜브 채널 뻔펀튜브를 운영하고 있다. 구독자 22만 4천 명을 보유한 뻔펀튜브는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관련 리뷰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구독자 수를 확보하고 채널이 일정 성장궤도에 오르기까지 영상을 꾸준히 업로드 하는 건 기본이다. 박 대표는 “조회수를 올리거나 채널 구독자 확보를 위해 유튜브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경향이 있지만 지금까지 나온 알고리즘은 크리에이터의 경험을 토대로 추측한 것일 뿐”이라며 “지속적인 업로드에 더해 영상 핵심 키워드를 태그로 달거나 구독자들과 댓글로 소통하며 상호작용 하는 편이 채널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가 지속성을 강조하는 건 이른바 ‘대박’ 콘텐츠 비법이 따로 없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유튜버 사이에서도 어떤 콘텐츠가 잘 터질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게 없다”며 “잘 터지는 콘텐츠를 만드는 비법은 아무도 모른다”고 답했다. 영상을 기획, 제작, 업로드 전까지 스스로가 대박 콘텐츠라고 예상했지만 실제 조회수가 얼마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기대하지 않은 콘텐츠가 수십 만 조회수를 기록할 때도 있다. 박 대표는 “뻔펀튜브 뿐 아니라 많은 크리에이터도 이러한 경험이 있을 것”이라며 “어느 것이 터질지 모르기 때문에 한 번 조회수가 잘 나오지 않았다고 실망하지 말고 계속해서 (시도) 해보라”고 전했다.

박 대표는 “구독자는 하루 아침에 생기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뻔펀튜브 초창기만해도 구독자는 10명 내외였다. 영상 조회수는 10~20회에 그쳤다. “학교를 휴학하고 유튜브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르바이트로 장비를 구입하고 유튜브를 시작했다. 집에다는 용돈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호기롭게 시작했지만 9개월 동안 수익은 10만원이 채 되지 않았다. 구독자는 더이상 늘 것 같지도 않았다.

유튜브를 접으려던 시점,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박 대표가 자주 가던 인터넷 커뮤니티에 홍보 글을 올렸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홍보 글을 올리다 보니 어느 순간 반응이 왔다. 영상 조회수가 10만을 넘고 구독자는 1,000명을 돌파했다” 꾸준히 올려뒀던 콘텐츠도 이 때 빛을 발했다. 더불어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를 활용할 것”을 권했다.

2015년 커뮤니티에 자신의 채널을 홍보할 떄보다 지금은 SNS를 비롯한 커뮤니티 활동이 더 활발한 시점이라는 게 그의 의견이다. 거대 플랫폼에 수 많은 사람들이 따로 또 같이 활동하고 있는만큼 자신의 콘텐츠를 퍼뜨릴 수 있는 경로도 다양해졌다. 박 대표는 “콘텐츠가 재미있으면 SNS를 타고 유튜브로 건너오기도 한다”며 “최대한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올리되 SNS를 통해 자기 채널 홍보를 충분하 하면 채널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표가 말하는 크리에이터의 하루는 “별 게 없다” 하루 중 대부분은 콘텐츠 제작에 힘을 쓷는다. “자료조사, 녹음, 내레이션 작업만 해도 하루 12시간이 지나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크리에이터 중요 수익 구조가 채널로 얻는 수익이기 때문이다. 크리에이터 생태계가 넓어지면서 오프라인으로도 활동 반경이 넓어지기도 한다. 대형 유튜버는 출판과 MD 상품 제작을 통해 수익 구조를 다각화한다.

오프라인 활동으로 박 대표가 추천하는 교육이다. 크리에이터 활동을 통해 쌓인 노하우가 있다면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일반인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 수익도 수익이지만 무엇보다 활동으로 보람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수확으로 꼽는다. 박 대표의 경우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박 대표는 “하루에도 수 만개씩 쏟아져 나오는 콘텐츠에 선정적이거나 난폭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며 “유튜브를 보는 연령이 낮아지면서 이런 환경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는 게 큰 문제”라고 짚었다. 청소년들이 유해 콘텐츠에 노출되고 자연스레 따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 사회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박 대표는 “우리가 글을 쓰고 읽는 것처럼 이제는 미디어로 읽고 쓰는 교육이 필요하다”며 “수익뿐 아니라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교육 활동을 크리에이터에게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 이 기사는 벤처스퀘어가 울산경제진흥원 울산청년창업센터와 함께 공동 기획, 진행한 것입니다. 해당 동영상은 스타트업라이브 채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